"김정은, 유럽에 10억弗 비밀계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워싱턴타임스 보도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가족이 스위스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등에 최소 10억달러의 비밀 은행계좌를 갖고 있다고 미국 워싱턴타임스가 미 정보당국자를 인용,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하지 못하도록 자금줄을 차단해야 하며 이를 위해 김 위원장 일가의 비밀계좌를 추적·봉쇄하는 동시에 북한에 돈을 빌려준 채권국들이 채무상환을 독촉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북한은 현재 30여개국에 140억달러의 빚을 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별 부채 규모는 일본 4억달러, 스웨덴 3억3000만달러, 이란 3억달러, 독일 3억달러, 태국 2억6000만달러, 스위스 1억달러, 이라크 5000만달러 등이다. 이들 국가는 북한에 부채 상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러시아 등은 국제적인 채무 회수 노력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은 군사 및 경제 원조 등으로 북한에 69억8000만달러, 러시아는 10억1000만달러의 자금을 빌려줬다. 프랑스(2억8000만달러) 오스트리아(2억1000만달러) 시리아(1억4000만달러) 대만(8600만달러) 등도 북한에 채무상환을 요구하지 않고 있다. 이 당국자는 “이들 나라는 빚을 되돌려 받는 것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에 좀 더 적극적으로 채무 상환을 요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정권이 핵무기 개발에 나서지 못하도록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미 재무부 관리는 “미국은 세계 각국들과 함께 북한의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개발에 연루된 개인 및 기관에 대한 금융제재를 강화하고 있다”며 “조선무역은행 등 북한 금융회사들과의 불법 거래에 따른 불이익을 받지 않기 위해 전 세계 금융회사들이 제재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이 당국자는 북한이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하지 못하도록 자금줄을 차단해야 하며 이를 위해 김 위원장 일가의 비밀계좌를 추적·봉쇄하는 동시에 북한에 돈을 빌려준 채권국들이 채무상환을 독촉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북한은 현재 30여개국에 140억달러의 빚을 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별 부채 규모는 일본 4억달러, 스웨덴 3억3000만달러, 이란 3억달러, 독일 3억달러, 태국 2억6000만달러, 스위스 1억달러, 이라크 5000만달러 등이다. 이들 국가는 북한에 부채 상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러시아 등은 국제적인 채무 회수 노력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은 군사 및 경제 원조 등으로 북한에 69억8000만달러, 러시아는 10억1000만달러의 자금을 빌려줬다. 프랑스(2억8000만달러) 오스트리아(2억1000만달러) 시리아(1억4000만달러) 대만(8600만달러) 등도 북한에 채무상환을 요구하지 않고 있다. 이 당국자는 “이들 나라는 빚을 되돌려 받는 것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에 좀 더 적극적으로 채무 상환을 요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정권이 핵무기 개발에 나서지 못하도록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미 재무부 관리는 “미국은 세계 각국들과 함께 북한의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개발에 연루된 개인 및 기관에 대한 금융제재를 강화하고 있다”며 “조선무역은행 등 북한 금융회사들과의 불법 거래에 따른 불이익을 받지 않기 위해 전 세계 금융회사들이 제재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