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개발 민간출자사들 사업정상화 촉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청산작업이 3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시행사인 드림허브의 민간출자사들이 26일 사업 정상화를 촉구하는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했다. 하지만 최대주주인 코레일(한국철도공사)는 ‘청산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용산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는 26일 코레일을 제외한 주요 출자사 6개사의 이사진 7명이 모여 긴급회동을 갖고 ‘용산사업 정상화를 위한 호소문’을 내놨다. 사업 재개를 놓고 코레일과 막판 협상을 진행하는 동시에 국민적 관심을 고조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롯데관광개발 삼성물산 푸르덴셜 등 민간 출자사들은 호소문에서 “지난 24일 코레일 중심의 특별합의서 최종 변경안에 대해 절대 다수가 동의를 완료했다”며 “모든 출자사들이 일심동체가 돼 용산사업을 재출범시킬 수 있는 확고한 준비상태에 있다”며 코레일의 일방적인 사업 청산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사회는 “향후 코레일의 사업정상화 업무 추진과 신규 투자자 유치 등의 종합적인 노력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의지와 뜻을 모을 것”이라며 “용산사업을 지켜보는 국민과 서부이촌동 주민들, 서울시 등 관계기관이 막대한 사회적 갈등과 피해를 초래하는 용산사업의 청산 절차를 중단하고 사업정상화를 추진하는데 힘을 실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이사회는 전날 코레일이 핵심 사업지인 철도정비창 부지 소유권이전 등기를 마치자 긴급 소집됐다. 코레일은 과거 드림허브에 2조4000억여원을 받고 매각했던 땅을 되찾기 위해 매각대금의 일부인 5470억원을 이미 대주단에 반환했다. 또 오는 29일 드림허브 출자사 30개사간 맺은 사업협약을 해지하고 30일에는 2400억원의 사업이행보증금도 신청해 사업을 최종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코레일측은 “용산사업을 재개하지 않겠다는 기본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며 “6월까지 1조3000억원을 조달해야 사업이 정상화될 수 있는데 쉽지 않다”며 사실상 용산사업이 끝났음을 시사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용산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는 26일 코레일을 제외한 주요 출자사 6개사의 이사진 7명이 모여 긴급회동을 갖고 ‘용산사업 정상화를 위한 호소문’을 내놨다. 사업 재개를 놓고 코레일과 막판 협상을 진행하는 동시에 국민적 관심을 고조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롯데관광개발 삼성물산 푸르덴셜 등 민간 출자사들은 호소문에서 “지난 24일 코레일 중심의 특별합의서 최종 변경안에 대해 절대 다수가 동의를 완료했다”며 “모든 출자사들이 일심동체가 돼 용산사업을 재출범시킬 수 있는 확고한 준비상태에 있다”며 코레일의 일방적인 사업 청산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사회는 “향후 코레일의 사업정상화 업무 추진과 신규 투자자 유치 등의 종합적인 노력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의지와 뜻을 모을 것”이라며 “용산사업을 지켜보는 국민과 서부이촌동 주민들, 서울시 등 관계기관이 막대한 사회적 갈등과 피해를 초래하는 용산사업의 청산 절차를 중단하고 사업정상화를 추진하는데 힘을 실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이사회는 전날 코레일이 핵심 사업지인 철도정비창 부지 소유권이전 등기를 마치자 긴급 소집됐다. 코레일은 과거 드림허브에 2조4000억여원을 받고 매각했던 땅을 되찾기 위해 매각대금의 일부인 5470억원을 이미 대주단에 반환했다. 또 오는 29일 드림허브 출자사 30개사간 맺은 사업협약을 해지하고 30일에는 2400억원의 사업이행보증금도 신청해 사업을 최종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코레일측은 “용산사업을 재개하지 않겠다는 기본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며 “6월까지 1조3000억원을 조달해야 사업이 정상화될 수 있는데 쉽지 않다”며 사실상 용산사업이 끝났음을 시사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