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파스퇴르·GSK 결핵치료 협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약 후보물질 공동 연구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세계적인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트레스칸토스 오픈랩재단’과 결핵 치료제를 개발하는 국제 공동 연구를 시작한다고 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세포 내 숨어 있는 결핵균을 죽이는 신약후보물질의 화학구조 최적화’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작년 트레스칸토스 오픈랩재단 참여 기관으로 선정된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이날부터 1년간 케빈 페트 박사 등 연구진을 파견할 예정이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한국의 정보기술(IT)과 프랑스의 바이오기술(BT)을 융합한 신약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04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가 공동 설립한 연구소다. 현재 미래창조과학부와 경기도의 지원을 받고 있다.
트레스칸토스 오픈랩은 GSK가 세계 각지의 교수와 연구자를 초빙해 말라리아 결핵 등 소외 질환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2010년 스페인에 설립한 연구재단이다. 핀란드 헬싱키대, 미국 뉴욕대·코넬대 의대 등이 재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 연구진이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연구팀은 ‘세포 내 숨어 있는 결핵균을 죽이는 신약후보물질의 화학구조 최적화’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작년 트레스칸토스 오픈랩재단 참여 기관으로 선정된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이날부터 1년간 케빈 페트 박사 등 연구진을 파견할 예정이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한국의 정보기술(IT)과 프랑스의 바이오기술(BT)을 융합한 신약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04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가 공동 설립한 연구소다. 현재 미래창조과학부와 경기도의 지원을 받고 있다.
트레스칸토스 오픈랩은 GSK가 세계 각지의 교수와 연구자를 초빙해 말라리아 결핵 등 소외 질환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2010년 스페인에 설립한 연구재단이다. 핀란드 헬싱키대, 미국 뉴욕대·코넬대 의대 등이 재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 연구진이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