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공매도 때문에…현대상선 1만원 붕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운업황 부진에 헤지펀드 집중 공격
자금조달 방식 유상증자·CB서 EB로 선회
자금조달 방식 유상증자·CB서 EB로 선회
▶마켓인사이트 5월2일 오후 3시15분
현대그룹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 주가가 2004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1만원 밑으로 추락했다. 해운업황 부진이 그룹 유동성 문제로 확대되는 걸 감지한 헤지펀드들이 공매도를 집중적으로 퍼부은 여파다.
주가 하락 때문에 현대상선은 당초 계획한 유상증자나 전환사채(CB) 발행 계획을 접고, 보유 주식을 담보로 교환사채(EB)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자금 확보 전략을 바꿨다.
현대상선은 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9.85% 급락한 9240원에 거래를 마쳤다. 현대상선 주가가 1만원 아래로 떨어지기는 2004년 10월1일 이후 8년7개월 만이다. 이 회사 주가는 올 들어서만 60.84% 떨어졌다.
현대상선 주가가 맥을 못 추는 가장 큰 이유는 해운업황 부진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9989억원의 순손실을 낸 데 이어 올 1분기에도 1000억원이 넘는 순손실을 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싱가포르 등지의 헤지펀드들은 공매도 물량을 쏟아내며 주가 하락폭을 키우고 있다. 최근 1년간 현대상선 전체 거래대금에서 공매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16.68%로 상장사 가운데 가장 높았다.
현대상선 주가는 그룹의 또 다른 축인 현대엘리베이터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가 현대상선 경영권 방어를 위해 현대상선 주식을 매입한 우호 금융회사들에 주가가 떨어질 경우 손실을 보전해주는 파생계약을 맺었기 때문이다.
현대상선은 유동성 확보 계획도 다시 그리고 있다. 주가 하락으로 인해 당초 계획했던 유상증자나 CB 발행이 사실상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대신 현대상선이 보유한 KB금융지주와 현대증권 지분을 활용해 EB를 발행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현대상선은 현대증권 우선주를 담보로 500억원 규모의 추가 EB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자금 조달 규모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현대상선의 단기성 차입금이 1조원 수준(3월 말 기준)에 이르기 때문이다. 현대로지스틱스의 재무적투자자(FI)인 우리프라이빗에쿼티(PE)가 올 하반기 투자원금과 이자 등 약 1200억원에 대한 풋옵션을 행사하면 현대상선이 대신 갚아줘야 하는 부담도 안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현대상선이 7000억원 안팎의 현금성 자산을 갖고 있지만 향후 자금 수요를 감안하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유정/조진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