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스프리 효자노릇"…아모레퍼시픽그룹, 1Q 매출 10.6%↑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6% 성장한 9802억 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다만 영업이익은 17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다. 해외 사업 확대로 인한 투자비용과 광고판촉비, 마케팅 비용 등이 늘면서 이익이 감소했다. 당기순이익도 1170억 원으로 17.8% 줄었다.
볼륨이 가장 큰 화장품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9% 성장한 779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국내 매출액은 54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 해외 매출액은 1269억 원으로 36.8%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면세점 수익 증가와 이니스프리, 라네즈 등의 신제품이 인기를 끌어 매출을 견인했다"며 "헤어브랜드인 아모스프로페셔널의 시장 점유율이 커진것도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화장품 브랜드에서 가장 큰 매출 상승을 기록한 이니스프리는 그린티씨드세럼과 링클스팟에센스가 효자 노릇을 했다.
명품 화장품 군인 설화수, 헤라 등은 중국인 면세 고객이 66% 늘면서 매출이 상승했다. 헤라 미스트쿠션, CC크림, 루즈홀릭, VB명작수, 메타그린 등 히트 상품 영향도 컸다.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인 아이오페, 라네즈는 신제품으로 내놓은 바이오 액티베이터, 오리지널 에센스 등이 인기를 끌었다.
해외 사업은 싱가폴과 태국이 각각 지난 해 대비 241%, 231%로 고성장했다. 대만은 59%, 미국은 29.7% 성장했다.
중국 시장 매출액은 지난해 보다 36.8% 성장한 840억 원을 기록했다. 설화수 매장 생산성 향상과 이니스프리 제품 항목이 다양화된 것이 매출 증가 요인으로 꼽혔다.
다만 해외 사업 확대로 인한 투자비용과 광고판촉비, 마케팅 비용 등이 늘면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생활용품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7.4% 성장한 1359억 원, 제약 등 기타 부문은 2.5% 성장한 652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헤어브랜드 '미쟝센'은 헤어코스메틱(거품염모, 세럼, 트리트먼트)쪽이 전년 동기 대비 41% 성장했다. '려'는 신제품 출시로 시장 점유율이 14% ,아모스프로페셔널은 전 품목 성장으로 시장 점유율이 9.7% 상승했다.
태평양제약은 메디톡신 가격 하락과 건강기능식품 주문량 감소로 매출이 줄었다. 다만 유리사업인 퍼시픽글라스는 유럽,사우디 등 거래처를 개척하면서 매출액이 증가했다. 녹차재배 사업인 장원산업도 매출액이 전년 대비 137% 급증했다.
한경닷컴 한지아 기자 jyahhan@hankyung.com
다만 영업이익은 17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다. 해외 사업 확대로 인한 투자비용과 광고판촉비, 마케팅 비용 등이 늘면서 이익이 감소했다. 당기순이익도 1170억 원으로 17.8% 줄었다.
볼륨이 가장 큰 화장품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9% 성장한 779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국내 매출액은 54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 해외 매출액은 1269억 원으로 36.8%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면세점 수익 증가와 이니스프리, 라네즈 등의 신제품이 인기를 끌어 매출을 견인했다"며 "헤어브랜드인 아모스프로페셔널의 시장 점유율이 커진것도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화장품 브랜드에서 가장 큰 매출 상승을 기록한 이니스프리는 그린티씨드세럼과 링클스팟에센스가 효자 노릇을 했다.
명품 화장품 군인 설화수, 헤라 등은 중국인 면세 고객이 66% 늘면서 매출이 상승했다. 헤라 미스트쿠션, CC크림, 루즈홀릭, VB명작수, 메타그린 등 히트 상품 영향도 컸다.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인 아이오페, 라네즈는 신제품으로 내놓은 바이오 액티베이터, 오리지널 에센스 등이 인기를 끌었다.
해외 사업은 싱가폴과 태국이 각각 지난 해 대비 241%, 231%로 고성장했다. 대만은 59%, 미국은 29.7% 성장했다.
중국 시장 매출액은 지난해 보다 36.8% 성장한 840억 원을 기록했다. 설화수 매장 생산성 향상과 이니스프리 제품 항목이 다양화된 것이 매출 증가 요인으로 꼽혔다.
다만 해외 사업 확대로 인한 투자비용과 광고판촉비, 마케팅 비용 등이 늘면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생활용품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7.4% 성장한 1359억 원, 제약 등 기타 부문은 2.5% 성장한 652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헤어브랜드 '미쟝센'은 헤어코스메틱(거품염모, 세럼, 트리트먼트)쪽이 전년 동기 대비 41% 성장했다. '려'는 신제품 출시로 시장 점유율이 14% ,아모스프로페셔널은 전 품목 성장으로 시장 점유율이 9.7% 상승했다.
태평양제약은 메디톡신 가격 하락과 건강기능식품 주문량 감소로 매출이 줄었다. 다만 유리사업인 퍼시픽글라스는 유럽,사우디 등 거래처를 개척하면서 매출액이 증가했다. 녹차재배 사업인 장원산업도 매출액이 전년 대비 137% 급증했다.
한경닷컴 한지아 기자 jyah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