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만에 여의도 돌아온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 "양극화 풀어야 안정적 국정운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획일적 분배주의는 안돼…서민 관련입법 힘쓸터"
"획일적 분배주의는 안돼…서민 관련입법 힘쓸터"
지난 4ㆍ24 재ㆍ보선에 당선된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62ㆍ부산 영도·사진)은 8일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기득권 세력과 가진 자들에 대해 무조건적인 불만을 갖는 잘못된 현상이 우리 사회에 만연해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서민들이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고 살 수 있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선 무엇보다 양극화 해소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해외에 나가보면 한국이 이룬 경제 성장을 높이 평가하고 부러워하지만 막상 우리 국민들의 행복지수는 그리 높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양극화에서 비롯된 국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어루만져줘야 안정적인 국정 운영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 성장의 과실이 서민에게 골고루 돌아가지 않은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과실을 사과 자르듯 똑같이 나누는 분배주의를 하자는 것은 아니다”며 “(동료 의원들과) 현실에 맞는 해결책을 찾는데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양극화 해소를 위한 관련 입법 활동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김 의원은 “만날 사람도 많고 지역 인사 다니느라 바빠 (서민 지원 입법을) 머릿속으로만 구상하고 있다”며 “당장은 힘들지만 차근차근 시간을 갖고 해볼 생각”이라고 했다.
그는 작년 총선과 대선 과정에서 포퓰리즘(인기 영합주의)에 기반한 과잉복지 공약의 비현실성과 폐해를 지적하는데 앞장서기도 했다. 4ㆍ11 총선 뒤 재정위기를 겪고 있던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남유럽 4개국을 직접 둘러봤던 김 의원은 귀국 직후 가진 인터뷰에서 “정치인들의 무책임한 공약과 발언 때문에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국가들을 지켜보니 국가 지도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뼈저리게 느꼈다”며 “정치인들이 중심을 잡고 과잉 복지를 근절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친박근혜 핵심이었다가 세종시 수정안의 국회 처리 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다소 멀어졌다. 지난해 4월 총선 때 자신의 지역구인 부산 남구을이 전략공천지역으로 분류되면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그는 무소속 출마를 하지 않고 ‘백의종군’을 선언했다. 그러다 대선 때 총괄선대본부장을 맡으며 다시 박 대통령 곁으로 돌아왔다. 그의 별명은 ‘무대(김무성 대장)’ ‘큰 형님’이다. 당내에서 그가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케 한다. 때문에 정치권은 국회 재입성 이후 그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의원이 스스로 분명한 선을 긋고 있지만 10월 재ㆍ보선과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연내 당 대표에 나서야 한다는 ‘조기 등판론’이 힘을 얻을 것이라는 전망이 당내에 적지 않다. 그는 그러나 당 안팎에서 제기하는 향후 역할론에 대해 극도로 말을 아꼈다. 김 의원은 “최근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두 후보 중에 내가 한쪽을 밀고 있다는 얘기가 언론에 났는데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잘라 말했다. 한 측근은 “김 의원은 당분간 ‘로키(low key)’로 움직일 것”이라고 했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핵 잠수함이 조용히 들어와 묵직하게 자리잡고 있는 격”이라며 “(김 의원이) 향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 관심”이라고 말했다.
이정호/이태훈 기자 dolph@hankyung.com
김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서민들이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고 살 수 있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선 무엇보다 양극화 해소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해외에 나가보면 한국이 이룬 경제 성장을 높이 평가하고 부러워하지만 막상 우리 국민들의 행복지수는 그리 높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양극화에서 비롯된 국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어루만져줘야 안정적인 국정 운영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 성장의 과실이 서민에게 골고루 돌아가지 않은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과실을 사과 자르듯 똑같이 나누는 분배주의를 하자는 것은 아니다”며 “(동료 의원들과) 현실에 맞는 해결책을 찾는데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양극화 해소를 위한 관련 입법 활동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김 의원은 “만날 사람도 많고 지역 인사 다니느라 바빠 (서민 지원 입법을) 머릿속으로만 구상하고 있다”며 “당장은 힘들지만 차근차근 시간을 갖고 해볼 생각”이라고 했다.
그는 작년 총선과 대선 과정에서 포퓰리즘(인기 영합주의)에 기반한 과잉복지 공약의 비현실성과 폐해를 지적하는데 앞장서기도 했다. 4ㆍ11 총선 뒤 재정위기를 겪고 있던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남유럽 4개국을 직접 둘러봤던 김 의원은 귀국 직후 가진 인터뷰에서 “정치인들의 무책임한 공약과 발언 때문에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국가들을 지켜보니 국가 지도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뼈저리게 느꼈다”며 “정치인들이 중심을 잡고 과잉 복지를 근절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친박근혜 핵심이었다가 세종시 수정안의 국회 처리 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다소 멀어졌다. 지난해 4월 총선 때 자신의 지역구인 부산 남구을이 전략공천지역으로 분류되면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그는 무소속 출마를 하지 않고 ‘백의종군’을 선언했다. 그러다 대선 때 총괄선대본부장을 맡으며 다시 박 대통령 곁으로 돌아왔다. 그의 별명은 ‘무대(김무성 대장)’ ‘큰 형님’이다. 당내에서 그가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케 한다. 때문에 정치권은 국회 재입성 이후 그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의원이 스스로 분명한 선을 긋고 있지만 10월 재ㆍ보선과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연내 당 대표에 나서야 한다는 ‘조기 등판론’이 힘을 얻을 것이라는 전망이 당내에 적지 않다. 그는 그러나 당 안팎에서 제기하는 향후 역할론에 대해 극도로 말을 아꼈다. 김 의원은 “최근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두 후보 중에 내가 한쪽을 밀고 있다는 얘기가 언론에 났는데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잘라 말했다. 한 측근은 “김 의원은 당분간 ‘로키(low key)’로 움직일 것”이라고 했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핵 잠수함이 조용히 들어와 묵직하게 자리잡고 있는 격”이라며 “(김 의원이) 향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 관심”이라고 말했다.
이정호/이태훈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