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 분사를 통한 구조조정 현실화 가능성↑"-이트레이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트레이드증권은 9일 증권사 영업활력 제고방안에 따라 분사를 통한 구조조정이 현실화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지난 7일 동일계열 증권사 신설 및 분사를 허용하는 등의 증권사 영업활력 제고방안이 발표됐다.
이치영 이트레이드증권 애널리스트는 "분사를 통한 구조조정이 충분히 현실성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 브로커리지(위탁매매)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증권업 전반적으로 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긍정적이며, 특히 대주주인 정부의 매각의지가 존재하는 민영화 대상 증권사는 매각 시나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어 긍정적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사업부문별로 분사되면 부문별 차별화된 영업전략, 보상체계 적용이 가능해진다"며 "수익성이 높거나 투자의지가 높은 부문에는 일관된 투자가 가능해지고, 수익성이 낮은 부문은 비용수준을 떨어뜨리는 구조조정이 용이해진다"고 밝혔다.
설사 분사 후에 활발한 M&A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분사된 증권사의 보상체계, 인력정책을 차별화가 가능하므로, 자체 비용 구조조정 효과는 현재보다 클 것이라고 풀이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지난 7일 동일계열 증권사 신설 및 분사를 허용하는 등의 증권사 영업활력 제고방안이 발표됐다.
이치영 이트레이드증권 애널리스트는 "분사를 통한 구조조정이 충분히 현실성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 브로커리지(위탁매매)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증권업 전반적으로 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긍정적이며, 특히 대주주인 정부의 매각의지가 존재하는 민영화 대상 증권사는 매각 시나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어 긍정적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사업부문별로 분사되면 부문별 차별화된 영업전략, 보상체계 적용이 가능해진다"며 "수익성이 높거나 투자의지가 높은 부문에는 일관된 투자가 가능해지고, 수익성이 낮은 부문은 비용수준을 떨어뜨리는 구조조정이 용이해진다"고 밝혔다.
설사 분사 후에 활발한 M&A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분사된 증권사의 보상체계, 인력정책을 차별화가 가능하므로, 자체 비용 구조조정 효과는 현재보다 클 것이라고 풀이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