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박근혜 대통령과 만난 대기업 총수들이 투자와 고용 확대를 약속했지만 시간이 촉박합니다.



경제민주화 후속 법안이 다음달 임시국회 처리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재계는 어느 때보다 중요한 한 달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정봉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각종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확실하게 풀어 나가겠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투자와 일자리를 최대한 더 늘려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지난달 12일 일감몰아주기 과세와 임원 보수 공개에 대한 성명에 이어 이례적인 경제 5단체 부회장 긴급 회동,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에 대한 성명 발표까지 새 정부 들어 재계는 경제민주화 법안 처리에 대한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내 왔습니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해 말 당선인 신분으로 전경련을 찾기는 했지만 올해 들어 국회의 경제민주화 법안 처리를 지켜만 보면서 사실상 재계를 압박했습니다.



첫 만남인 이번 방미가 경제민주화 입법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과 재계의 갈등을 봉합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사상 최대 규모(52명)의 경제사절단,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등 대기업 총수들이 9년 만에 총출동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취임 후 두달여 만에, 그것도 미국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규제 완화 약속과 대기업 총수들의 투자 고용 확대 화답으로 분위기는 누그러뜨렸지만 재계에 남은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재계를 압박해왔던 가맹사업법과 공정거래법,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등 경제민주화 후속 법안이 6월 임시국회 처리를 앞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초 4월로 전망됐던 법안 처리가 숨고르게 들어가면서 한 달 정도 시간을 벌었다는 점이 재계로서는 그나마 반가운 일입니다.



결국 아직 투자계획을 드러내지 않은 상당수 대기업들이 한 달 새 어떤 화답을 내놓는지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의 규제 완화 의지도 구체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정봉구입니다.


정봉구기자 bkjung@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박 대통령 영어 연설 `화제`‥네티즌 반응 엇갈려
ㆍ초대형 벌집 발견‥4m에 달해 양봉업자 "대박"
ㆍ`LG가 불났어요?` 녹취파일 화제‥"LG U+ 고객응대 종결자"
ㆍ손담비 짜파구리 굴욕, 맛이 어때서? `이런 맛 처음`
ㆍ기준금리 2.5%로 25bp 인하‥정책공조 나서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