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가구 71%인 180만 가구가 보유한 자산과 공적연금만으로는 사망시점까지 생활비를 충당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9%에 해당하는 151만 가구는 최소 생활비(월 68~157만 원)조차 조달이 어려웠다.

12일 LG경제연구원 류상윤 책임연구원이 통계청의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세부 자료에 포함된 노인가구 2884가구에 대한 표본 조사 결과를 분석해 내놓은 '대한민국, 은퇴하기 어렵다'란 보고서에 따르면 각 가장이 노후 생활에 필요한 금액은 평균 2억5000만 원인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연령별 적정 생활비에서 노인가구가 받는 공적연금, 기초노령연금, 사회수혜금 등을 빼고서 기대 수명을 따져 계산한 액수다.

보유자산과 공적연금으로 노후생활이 불가능한 고령자는 일자리를 찾거나 자녀에게 손을 벌려야 하지만 일자리를 찾기 어려울뿐 아니라 저임금에 단순노무직인 경우가 대다수다.

자녀에게도 손벌리기가 녹록치 않은 현실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부모의 노후를 가족이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견해는 2002년 70.7%에서 지난해 33.2%로 뚝 떨어졌다.

또한 자산을 매각해 최소한의 생계비조차 충당할 수 없는 가구도 5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닷컴 뉴스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