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주파수'로 불리는 1.8GHz 롱텀에볼루션(LTE) 주파수 경매를 앞두고 이동통신사들의 상호 비방전이 재개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KT가 경쟁사를 강도높게 비판하며 먼저 포문을 열었다.

KT는 14일 보도자료를 내고 "재벌기업이 시장독식을 위해 KT를 모바일 사업에서 몰아내려 한다"고 거세게 비난했다. 보도자료 제목에 '인접대역 할당 반대는 재벌의 시장독식 꼼수'라고 적었을 정도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1.8GHz의 KT 인접대역 롱텀에볼루션(LTE) 신규 주파수를 할당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KT는 현재 LTE 주파수 상황 자체가 불공정하며 1.8GHz 인접대역까지 주파수 할당에서 배제된다면 KT는 '시장 퇴출'이라는 위기를 맞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SK텔레콤·LG유플러스는 1.8GHz 인접 주파수를 KT가 가져가면 향후 LTE 서비스 시장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라며 공정성을 이유로 반대해왔다.

이에 대해 KT는 "현재 KT가 불리한 상황임에도 경쟁사가 (KT의) 인접대역 할당을 반대하는 것은 KT에게 이동통신 사업을 접으라는 말과 같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과거 주파수 관련으로 특혜를 받은 것은 오히려 경쟁사들이라는 것.

"SK텔레콤은 2002년 신세기통신과의 합병으로 2G용 800MHz 주파수를 10여년간 독점한데다 2010년에는 인접대역을 추가로 확보해 2.1GHz 대역에서 전세계 유일하게 연속된 60MHz폭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KT의 설명이다.

KT는 이어 "경쟁사들이 올해 하반기부터 CA를 본격적으로 구축해나는데도 불구하고 만약 KT가 1.8GHz 인접대역을 할당 받지 못한다면 경쟁사가 자동차로 고속도로를 달릴 때 KT는 자전거를 타고 오라는 것과 같은 셈"이라고 덧붙였다.

KT가 이같이 강도를 높여 목소리를 낸 이유는 어떤 대역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향후 사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통사들의 현재 과제는 두 개. 원하는 대역을 차지하는 것과 경쟁사가 유리한 대역을 차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KT는 ‘주파수 효율성’을 강조한다. 주파수는 국가 재산인 만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

반대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공정경쟁’을 앞세우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시장의 치열한 경쟁 상황을 고려할 때 공정경쟁을 위한 방안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KT와 '반KT'의 싸움인 셈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학계와 업계 등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각계 의견을 반영해 6월까지 새로운 주파수 할당 계획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경닷컴 이지현 기자 edith@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