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파업 멈춰라"…대리점주·개인사업자 촉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J대한통운과 계약을 체결한 개인택배사업자와 대리점장들은 14일 “파업 중인 택배기사들은 배송거부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서울 도화동 CJ대한통운 중구지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만2000여명의 CJ대한통운 택배 종사자들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택배 배송거부와 방해사태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명분 없는 배송거부 중단 △회사의 수익성 보장·금전상 벌칙 폐지 약속 신뢰 △외부세력 간섭 즉시 중단 △정부의 정책 지원 △차질없는 배송 등 5개 사항을 요구했다. 또 “배송거부 사태가 지속되면 종사자 전체가 힘들어질 것”이라며 “일부 이탈 배송기사들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즉시 계약을 해지하고 집배송 구역을 조속히 재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수수료 인상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고 있는 CJ대한통운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배송 거부의 책임은 CJ 측에 있다”고 주장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이들은 이날 오전 서울 도화동 CJ대한통운 중구지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만2000여명의 CJ대한통운 택배 종사자들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택배 배송거부와 방해사태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명분 없는 배송거부 중단 △회사의 수익성 보장·금전상 벌칙 폐지 약속 신뢰 △외부세력 간섭 즉시 중단 △정부의 정책 지원 △차질없는 배송 등 5개 사항을 요구했다. 또 “배송거부 사태가 지속되면 종사자 전체가 힘들어질 것”이라며 “일부 이탈 배송기사들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즉시 계약을 해지하고 집배송 구역을 조속히 재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수수료 인상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고 있는 CJ대한통운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배송 거부의 책임은 CJ 측에 있다”고 주장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