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춘섭 카이스트 교수팀, 깨지지 않는 스마트폰 패널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춘섭 카이스트 교수팀, 깨지지 않는 스마트폰 패널 개발](https://img.hankyung.com/photo/201305/AA.7453363.1.jpg)
KAIST는 IT융합연구소 윤춘섭 물리학과 교수(사진) 연구팀이 고강도 플라스틱 패널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리섬유직물에 투명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기판을 제작했다. 이 기판은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면서도 인장 강도는 일반 유리보다 세 배 강하다. 강화유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기존 플라스틱 기판이 열에 약한 것과 달리 내열성도 450도까지 견딜 수 있도록 향상시켰다. 열팽창률은 기존 플라스틱 대비 10~20%에 불과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섬유직물과 외부 필름의 표면 거칠기가 달라 화면 선명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도 개선했다.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을 유리섬유직물의 굴절률과 소수 네 자리까지 일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번에 개발한 플라스틱 패널의 광 투과도는 90% 수준이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광학필름 소재 생산업체에 기술 이전도 추진하고 있다.
윤 교수는 “플라스틱 기판을 스마트폰에 적용하면 제품을 떨어뜨렸을 때 화면이 깨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TV의 무게와 두께를 줄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며 “기존 디스플레이 유리기판을 대체할 수 있고 자유롭게 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