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쌍용건설 지원' 속타는 까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가 In & Out
1조 지원하면 수천억 충당금
1조 지원하면 수천억 충당금
국민·우리·신한·하나·산업 등 주요 은행들의 기업구조조정 담당 부장 또는 본부장들이 15일 한자리에 모였다. 가끔 친목 도모나 정보 교류 차원에서 만났지만 이날 모임 분위기는 평소보다 무거웠다. 16일 쌍용건설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따른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서면결의를 앞두고 있어서다.
▶본지 4월26일자 A1면 참조
은행들은 이미 ‘딜레마’에 빠진 상태다. ‘밑 빠진 독’이 될지도 모르는 쌍용건설에 대규모 자금을 선뜻 투입할 수도, 그렇다고 건설·조선업체를 적극 도우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을 마냥 외면하기도 어려워서다. 실사 결과에 따르면 쌍용건설을 정상화하기 위해선 1조원 가까운 대규모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
은행들은 16일까지 쌍용건설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동의 여부를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에 알려줘야 하지만, 지난달 말 나온 실사 결과 예상치보다 오히려 지원액이 더 늘어난 상태여서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실사 결과 은행들은 총 9620억원을 투입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단 관계자는 “신규 자금을 포함한 지원 자금 규모가 너무 크다”며 “특히 채권단 입장에선 신규 자금 지원과 동시에 수천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새로 쌓아야 하기 때문에 지원 동의 여부를 놓고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본지 4월26일자 A1면 참조
은행들은 이미 ‘딜레마’에 빠진 상태다. ‘밑 빠진 독’이 될지도 모르는 쌍용건설에 대규모 자금을 선뜻 투입할 수도, 그렇다고 건설·조선업체를 적극 도우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을 마냥 외면하기도 어려워서다. 실사 결과에 따르면 쌍용건설을 정상화하기 위해선 1조원 가까운 대규모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
은행들은 16일까지 쌍용건설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동의 여부를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에 알려줘야 하지만, 지난달 말 나온 실사 결과 예상치보다 오히려 지원액이 더 늘어난 상태여서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실사 결과 은행들은 총 9620억원을 투입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단 관계자는 “신규 자금을 포함한 지원 자금 규모가 너무 크다”며 “특히 채권단 입장에선 신규 자금 지원과 동시에 수천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새로 쌓아야 하기 때문에 지원 동의 여부를 놓고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