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5일 국내 주요 언론사 정치부장단과의 만찬에서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북한의 폐쇄조치와 같은 사태가 벌어지지 않을 확고한 틀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다시 가동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기업인이라면 지금 이런 상태에서 대충대충 다시 시작한다면 들어갈 마음이 있겠느냐”며 “이런 상태라면 아무도 들어갈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전날 개성공단 내 남측 기업의 완제품과 원·부자재를 반출하기 위한 당국 간 실무회담을 제안한 이유에 대해서는 “(마지막) 7명의 국민이 올 때 우리는 그쪽(북한)이 요구하는 것에 대해 지급했지만, (완제품과 원·부자재를) 아직 못 받았고, 우리 기업들의 고통은 크다”며 “그 부분부터 먼저 얘기하자고 제안하는 것은 정부 입장에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한은 이날 한국 정부가 실무회담을 제의한 데 대해 “개성공단 문제를 풀려면 우리에 대한 도발적 망발과 대결 망동을 그만둬야 한다”며 거부했다. 북한의 개성공단 담당 기관인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대변인은 “남측이 진정으로 개성공업지구 사업을 정상화할 의향이 있다면 그 무슨 물자반출 문제와 같은 겉발림의 대화 타령이나 할 것이 아니라 근본문제를 푸는 데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또 “현 정권(박근혜정부)을 상대해야 하는지를 신중히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 정상 가동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도병욱 /조수영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