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라온프라이빗 타운.
중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라온프라이빗 타운.
제주도가 지난달까지 유치한 외국 자본 가운데 중국과 홍콩, 대만 등을 포함한 중국계 자본은 96.8%인 5조4938억원에 달한다. 중국계 자본이 밀물처럼 밀려들자 “제주도가 중국화해 제2의 하이난다오(海南島·중국 남단의 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대규모 중국계 투자에도 불구, 일부 쇼핑가를 제외하곤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지난 2월 낸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자본 투자에 따른 제주의 실질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5억원, 고용 유발효과는 48명에 그친다.
[차이나 머니 '제주 쇼핑'] 머나먼 '홍가포르'
김현국 제주참여환경연대 정책위원은 “2006년 이후 관광지 개발 등의 목적으로 5조6000억원가량을 유치했다고 하지만 실제 개발에 투자된 금액은 30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중국 자본 투자의 대부분이 콘도·리조트 등 부동산개발에 쏠려 있어 투기화할 수 있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단순 관광지에서 벗어나 지식 기반 첨단기업도시인 ‘홍가포르’(홍콩+싱가포르)를 건설하겠다는 제주도의 미래 비전과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강경식 제주도의원은 “중국 자본은 투자진흥지구로 몰려와 바로 팔 수 있는 숙박시설만 짓고 있다”며 “제주의 땅이 잠식당하고 있지만 제주도는 미래에 대한 고민이 없다”고 지적했다.

제주도는 중국 자본 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자 부담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제주도의 외국인 투자유치 규모가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16위인 점을 감안하면 외자유치가 시작 단계라는 이유에서다. 고태민 제주도청 투자유치과 과장은 “중국인이 산 땅의 85%는 개발 목적이 뚜렷하게 명시돼 있어 투기와는 거리가 멀다”며 “외국인이 소유한 제주 땅도 도 전체 면적의 0.53%인 980만㎡에 불과해 우려할 정도가 아니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투자진흥지구로 지정된 사업장의 개발사업이 부진하면 지구 지정을 해제하는 등 조만간 제주투자진흥지구 제도 개선안을 마련키로 했다.

강동원 제주도청 국외권유치담당 사무관은 “관광개발 위주에서 헬스케어, 의료관광, 가족테마파크 등으로 다양화하고 투자 유치시 신용 상태, 사회적 평판, 투자 능력 등을 전문기관을 통해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정수연 제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국 자본이 관광개발 등에 집중돼 있고 ‘생산적 자본’이 들어오지 않는 것은 제주가 그 외의 분야에서 중국 기업에 투자 매력이 없기 때문”이라며 “중국이 매력을 느낄 만한 제주의 외자유치 청사진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제주=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