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아침식사, 건강 + 몸매 챙기는 지름길
[김지일 기자] 바쁜 일상에 쫓기며 불규칙한 생활을 반복하는 한국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살펴보면 아침 식사를 거르는 사람들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종일 업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은 잦은 야근과 밤늦도록 이어지는 술자리를 반복하며 피로감에 시달리기 일쑤다. 때문에 아침에 눈을 뜨면 ‘밥 한 끼’보다는 10분 더 자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은 마음은 누구나 같을 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침식사를 꼬박꼬박 챙겨 먹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침 식사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을 알아보고 가족들의 건강을 챙겨줄 이상적인 아침 식단 및 대용식을 알아본다.

✔ 아침 식사를 챙겨먹어야 하는 이유?

간단한 아침식사, 건강 + 몸매 챙기는 지름길
하루를 시작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첫 영양분인 아침 식사는 공복상태인 체내에 혈당지수를 높여 신체활동을 원활히 하고 하루 종일 활동하는데 필요한 기초 에너지를 제공하는 주요한 영양공급원이다.

따라서 아침을 거르는 생활습관은 원활한 영양공급을 방해해 신체활동 및 생체리듬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 이는 무기력감과 과도한 피로감으로 느껴져 집중력 및 업무능력 저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저녁부터 점심까지 공복 상태를 반복하다 보면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과식과 폭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우리 몸은 일정한 주기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장에서 음식물을 최대한 흡수해 몸에 영양분을 저장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 이상적인 아침 식사, 어떻게 먹어야 좋을까?

간단한 아침식사, 건강 + 몸매 챙기는 지름길
최근 젊은이들은 샐러드와 주스 한 잔으로 간단하게 아침을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굶는 것보다 낫지만 아침 식단으로 추천할 메뉴는 아니다.

아침에 필요한 영양분은 탄수화물 위주로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식단이다. 당분은 하루의 시작을 활기차게 만들어주며 하루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대부분을 생성해 준다.

밥과 반찬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한식은 최고의 아침 식사라 할만하다. 단 아침은 소화가 잘되는 저혈당 식품을 선택하되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은 삼가는 것이 좋다. 이는 밤새 활동이 멈춰있던 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더불어 이전보다 더 고혈당 음식을 원하는 우리 몸의 특성상 아침부터 고혈당 식품을 섭취하면 전체적인 신체 밸런스를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 바쁜 아침, 식사가 부담스럽다면 이렇게!

간단한 아침식사, 건강 + 몸매 챙기는 지름길
바쁜 현대인이 선호하는 아침 대용식은 빵이나 떡 같은 식품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설탕이나 식품화학첨가물이 다량 함유된 단순당질 식품은 혈당을 빨리 떨어뜨려 아침식사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아침 식사를 챙겨먹을 여유가 없다면 과일이나 삶은 고구마에 우유를 곁들여 먹거나 자연 원료로 만든 선식, 곡물과 과일이 함유된 시리얼을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만일 입맛이 없어 제대로 된 식사를 챙길 수 없다면 죽이나 누룽지로 속을 달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GRN(지알엔)에서는 100% 국내산 곡물로 만든 영양만점 선식 ‘통알곡한끼’를 선보이고 있다. 검정콩, 검정깨, 검정쌀, 땅콩, 보리, 수수, 호박 등이 주 원료인 통알곡한끼는 ‘통알곡한끼’와 ‘검정콩 통알곡한끼’, ‘단호박 통알곡한끼’ 등 총 3가지로 출시됐으며 800g 대용량 제품과 휴대가 쉬운 파우치 제품으로 제작됐다.

이는 찬물에도 잘 녹아 어디서나 손쉽게 음용할 수 있으며 각자의 취향에 따라 물이나 우유, 산야초 발효액, 꿀 등을 섞어 마실 수 있다. 또한 곡물가루의 고소하고 담백한 맛과 곡물 플레이크를 씹는 아삭아삭한 식감은 평소 입맛이 없어 아침을 거르는 10대 청소년부터 직장인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만족시켜 줄 것이다. (사진제공: GRN , 지알엔)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 2013년 나에게 맞는 중고차 판매 방법은?
▶ 삼성전자 ‘아티브 스마트 PC’ LTE 모델 출시
▶ 결혼 늦추는 이유, 사랑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없어?
▶ 직장에서 화내는 이유 1위, 스트레스 부르는 ‘이것’

▶ 2030 시티족 생활가전 트렌드 “스마트한 것이 필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