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위 "경남·광주銀 분리매각안 집중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금융, 해외자본에 매각 힘들어
국내 금융지주나 PEF로 팔릴 듯
국내 금융지주나 PEF로 팔릴 듯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이 경남·광주은행 등을 분리해 매각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또 해외 자본에는 우리금융을 매각하지 않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을 국내 금융지주사나 사모펀드(PEF)에 넘기는 방안이 추진될 것으로 점쳐진다.
○지방銀 등 떼어내 팔 듯
26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짜는 민관 합동기구인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지난 25일 토론회를 갖고 우리금융의 지방은행 등을 따로 떼어내 팔고 금융지주사 등은 일괄 매각하는 안을 집중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른 시간 내에 매각을 성사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분리매각안이 급부상한 모양새다. 다만 분리매각으로 최종 방향이 정해지더라도 우리투자증권을 대상에 포함할지 여부는 더 논의하기로 했다.
남상구 공자위 민간위원장(고려대 명예교수·사진)은 이날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금융이 경남·광주은행의 지분을 각각 100%씩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체 금융지주의 몸집을 줄이기 위해 분리매각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난상 토론을 통해 많이 나왔다”고 말했다.
국민주, 희망수량 경쟁입찰, 블록세일 등의 방식은 사실상 배제키로 했다. 세 방식 모두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는 데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는 그동안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쪼개 파는 분리매각과 일괄매각을 동시에 추진한 병행매각(2010년), 우리금융을 한꺼번에 파는 통매각(2011, 2012년) 방안 등을 모두 추진했지만 유효 경쟁이 이뤄지지 않아 실패했다.
○“해외 매각 사실상 어려워”
남 위원장은 이어 “토론 결과 해외 자본에 우리금융을 파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쪽에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남 위원장은 우리금융 민영화 과정에서 법적·정서적 이유 등으로 해외 자본의 참여가 어렵다고 했다. 그는 “외국 자본이 국내 사모펀드에 파트너로 참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건 무리”라고 설명했다.
금융지주회사법상 해외 사모펀드가 국내 금융회사에 투자하면 지분 30% 이상을 확보할 수 없다. 다만 외국 금융지주 회사는 예외적으로 국내 금융회사 지분을 100% 전량 인수할 경우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다.
남 위원장은 “외국 금융지주사가 정부 지분(56.97%)뿐만 아니라 시장에 있는 우리금융 주식까지 다 사들여야 가능한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선을 그었다. 또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각 과정에서 ‘먹튀 논란’이 벌어진 뒤 외국 자본에 금융회사를 넘기기 힘들게 법이 바뀐 데다 정서적으로도 거부감이 커진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KB지주·MBK 등 본격 채비
다음달 정부의 우리금융 민영화 로드맵 발표를 앞두고 인수 후보들도 본격적인 채비에 들어갔다. KB금융지주는 과거 세 차례에 걸쳐 우리금융 인수를 검토했던 법률·재무 인력풀을 다시 가동했다.
KB지주가 우리금융 인수에 나설 경우 ‘현금상환 합병(교부금 합병)’ 방식이 거론된다. KB지주가 우리금융을 인수하면 구조조정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투뱅크’ 체제를 유지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사모펀드 중에선 MBK파트너스가 발빠르게 인수전 참여를 준비하고 있다. MBK는 새마을금고, 골드만삭스, 부산은행 등의 재무적 투자자(FI)들을 끌어들일 예정이다.
장창민/좌동욱 기자 cmjang@hankyung.com
○지방銀 등 떼어내 팔 듯
26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짜는 민관 합동기구인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지난 25일 토론회를 갖고 우리금융의 지방은행 등을 따로 떼어내 팔고 금융지주사 등은 일괄 매각하는 안을 집중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른 시간 내에 매각을 성사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분리매각안이 급부상한 모양새다. 다만 분리매각으로 최종 방향이 정해지더라도 우리투자증권을 대상에 포함할지 여부는 더 논의하기로 했다.
남상구 공자위 민간위원장(고려대 명예교수·사진)은 이날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금융이 경남·광주은행의 지분을 각각 100%씩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체 금융지주의 몸집을 줄이기 위해 분리매각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난상 토론을 통해 많이 나왔다”고 말했다.
국민주, 희망수량 경쟁입찰, 블록세일 등의 방식은 사실상 배제키로 했다. 세 방식 모두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는 데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는 그동안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쪼개 파는 분리매각과 일괄매각을 동시에 추진한 병행매각(2010년), 우리금융을 한꺼번에 파는 통매각(2011, 2012년) 방안 등을 모두 추진했지만 유효 경쟁이 이뤄지지 않아 실패했다.
○“해외 매각 사실상 어려워”
남 위원장은 이어 “토론 결과 해외 자본에 우리금융을 파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쪽에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남 위원장은 우리금융 민영화 과정에서 법적·정서적 이유 등으로 해외 자본의 참여가 어렵다고 했다. 그는 “외국 자본이 국내 사모펀드에 파트너로 참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건 무리”라고 설명했다.
금융지주회사법상 해외 사모펀드가 국내 금융회사에 투자하면 지분 30% 이상을 확보할 수 없다. 다만 외국 금융지주 회사는 예외적으로 국내 금융회사 지분을 100% 전량 인수할 경우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다.
남 위원장은 “외국 금융지주사가 정부 지분(56.97%)뿐만 아니라 시장에 있는 우리금융 주식까지 다 사들여야 가능한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선을 그었다. 또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각 과정에서 ‘먹튀 논란’이 벌어진 뒤 외국 자본에 금융회사를 넘기기 힘들게 법이 바뀐 데다 정서적으로도 거부감이 커진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KB지주·MBK 등 본격 채비
다음달 정부의 우리금융 민영화 로드맵 발표를 앞두고 인수 후보들도 본격적인 채비에 들어갔다. KB금융지주는 과거 세 차례에 걸쳐 우리금융 인수를 검토했던 법률·재무 인력풀을 다시 가동했다.
KB지주가 우리금융 인수에 나설 경우 ‘현금상환 합병(교부금 합병)’ 방식이 거론된다. KB지주가 우리금융을 인수하면 구조조정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투뱅크’ 체제를 유지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사모펀드 중에선 MBK파트너스가 발빠르게 인수전 참여를 준비하고 있다. MBK는 새마을금고, 골드만삭스, 부산은행 등의 재무적 투자자(FI)들을 끌어들일 예정이다.
장창민/좌동욱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