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산 GMO 밀 국내 유통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식약처, 밀가루 등 전수검사
日은 수입 중단 … 뒷북대응 논란
日은 수입 중단 … 뒷북대응 논란
미국산 유전자변형(GMO) 밀이 국내에 유통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검사 강화에 나섰지만 일본은 이미 수입을 잠정 중단해 한국 정부의 대응이 늦은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식약처는 30일 미국 정부로부터 오리건주 몬산토의 미승인 GMO 밀(품목명 MON 71800)이 한국에 수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통보를 받고 수입단계 검사 강화 등 유통 차단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미 수입돼 유통 중인 밀가루에 대해서도 수거 검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날 외신들도 미국 오리건주의 밀 경작지에서 재배 허가를 받은 적이 없는 GMO 밀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모든 GMO 작물은 안전성 검증을 거친 뒤 재배할 수 있다. 몬산토는 이 품종을 1998~2005년까지 미국 16개 주에서 시험 재배하고 승인을 추진했으나 당시 부정적인 여론으로 상업화를 포기했다.
미국 당국은 미승인 GMO 밀이 한국에 들어왔을 가능성에 대해 지난 29일 주한 미 대사관을 통해 식약처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식약처는 이에 따라 수입단계의 오리건주 밀과 밀가루에 대해 전수 검사를 하기로 한 것이다. 검사에서 미승인 GMO 밀이 검출되면 즉시 반송 조치된다.
또 유통 중인 밀가루 등에서 미승인 GMO 유전자가 검출되면 총리실 소속 식품안전정책심의위원회 신식품전문위원회에 안건으로 부쳐 추가 조치를 논의할 방침이다. 식약처는 “미승인 GMO 밀이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이미 수입됐을 가능성을 확인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처럼 미국산 밀의 주요 수입국인 일본이 오리건주 밀 수입을 잠정 중단한 것으로 알려져 식약처 대응 수위를 놓고 논란이 예상된다. 미국은 한국이 밀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다. 특히 오리건주 수입 물량은 국내에 들어온 미국산 밀의 3분의 1에 해당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2010년 이후 오리건주에서 수입된 미국산 밀은 171만t에 이른다.
같은 기간에 미국산 밀가루도 3352t이 수입됐다. 이에 따라 GMO 반대 단체와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GMO 안전성과 대응 수위를 놓고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식약처는 30일 미국 정부로부터 오리건주 몬산토의 미승인 GMO 밀(품목명 MON 71800)이 한국에 수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통보를 받고 수입단계 검사 강화 등 유통 차단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미 수입돼 유통 중인 밀가루에 대해서도 수거 검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날 외신들도 미국 오리건주의 밀 경작지에서 재배 허가를 받은 적이 없는 GMO 밀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모든 GMO 작물은 안전성 검증을 거친 뒤 재배할 수 있다. 몬산토는 이 품종을 1998~2005년까지 미국 16개 주에서 시험 재배하고 승인을 추진했으나 당시 부정적인 여론으로 상업화를 포기했다.
미국 당국은 미승인 GMO 밀이 한국에 들어왔을 가능성에 대해 지난 29일 주한 미 대사관을 통해 식약처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식약처는 이에 따라 수입단계의 오리건주 밀과 밀가루에 대해 전수 검사를 하기로 한 것이다. 검사에서 미승인 GMO 밀이 검출되면 즉시 반송 조치된다.
또 유통 중인 밀가루 등에서 미승인 GMO 유전자가 검출되면 총리실 소속 식품안전정책심의위원회 신식품전문위원회에 안건으로 부쳐 추가 조치를 논의할 방침이다. 식약처는 “미승인 GMO 밀이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이미 수입됐을 가능성을 확인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처럼 미국산 밀의 주요 수입국인 일본이 오리건주 밀 수입을 잠정 중단한 것으로 알려져 식약처 대응 수위를 놓고 논란이 예상된다. 미국은 한국이 밀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다. 특히 오리건주 수입 물량은 국내에 들어온 미국산 밀의 3분의 1에 해당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2010년 이후 오리건주에서 수입된 미국산 밀은 171만t에 이른다.
같은 기간에 미국산 밀가루도 3352t이 수입됐다. 이에 따라 GMO 반대 단체와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GMO 안전성과 대응 수위를 놓고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