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부시다 못해 정신까지 혼미할 정도로 빠르게 발전해온 지난 40여년의 한국 경제. 그 경제 성장의 주역은 가족을 위해, 국가를 위해 그저 열심히 몸이 부서져라 일만 해온 베이비부머들이다. 그들이 막연히 불안하긴 했지만 이렇게 빨리 현실로 다가올 줄 몰랐던 자신들의 은퇴를 눈앞에 두고 있다. 부모 봉양과 자식 뒷바라지에 은퇴 준비라고는 엄두도 못 내고 살아온 이들이다. 하지만 지금은 여기 저기서 앞다퉈 “은퇴하고도 40여년은 더 사는 세상이 됐다”고들 말한다.
이른바 ‘100세 시대’를 맞아 베이비부머들은 준비 안 된 노후 걱정으로 답답하다. 그리고 조만간 40대들도 이들을 따라 은퇴자 대열에 들어선다. ‘어떻게 노후 준비를 해야 하나’ ‘노후 자금부터 준비해야 하나’ 쏟아지는 질문에 대한 답은 사실 가까운 곳에 있다. 사춘기 자녀들에게 진로를 조언해주 듯이 노후를 대비하면 된다.
은퇴 후 40여년을 더 살아야 한다면 40대 후반부터 50대 초반은 우리 인생에 있어 제2의 사춘기다. 은퇴 이후의 삶 전체를 고민할 때 중ㆍ고등학생이 앞으로 펼쳐질 자신의 인생을 준비하듯 하면 된다는 얘기다. 경제적인 문제 이외에도 가족 관계, 성취감, 건강관리, 여가 생활 등을 즐길 계획이 모두 포함돼 있어야 한다.
제2의 인생을 준비해야 하는 또 한번의 ‘질풍노도의 시기’인 셈이다. 모두에게 힘겨운 시간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는 앞으로 주어질 은퇴 이후의 긴 삶의 무게를 고민해야 한다. 현실을 정면으로 바라봐야 한다. 그리고 제2의 인생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야 한다.
경제적인 문제에 국한된 청사진이 아닌 누구와 무엇을 하면서 어떻게 삶의 가치와 보람을 찾아 나갈지에 대한 종합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기출 <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