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 '착한 기술' 전하는 LG연구원들 "전기 부족한 곳엔 태양광 충전기가 딱이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술·디자인 분야별 전문가 모여 봉사단 '친환경 적정기술硏' 설립
“아프리카 말라위나 에티오피아 시골 마을에선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해 자동차로 한두 시간 걸리는 거리를 걸어서 다녀오기도 합니다. 이들 나라의 전체 가구 중 30%가량이 휴대폰을 갖고 있고 휴대폰을 조명으로도 쓰지만 전기를 제대로 공급받을 수 없다는 게 문제예요. 하지만 이 충전기가 있으면 램프에 불을 켜고 라디오도 들을 수 있죠.”
최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만난 하윤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 UX연구실 책임연구원은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충전 포트를 정리해 넣은 케이스를 들어 보였다. 이 회사 연구원들 모임인 ‘친환경 적정기술 연구회’에서 개발한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기(솔라 멀티 차저)다. 이 연구회는 아프리카 등 빈곤 국가들에 에너지 절약형 기술을 전수하기 위해 2010년 말 결성됐다. 하 연구원과 박병주 책임연구원, 김상훈 선임연구원 등은 업무 분야가 다르지만 빈곤 국가 사람들을 기술로 돕자는 뜻을 같이했다.
연구회는 적정기술 전문가인 장수영 포항공대 교수를 지도교수로 초빙, 기술과 디자인 재능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왔다. 2년 넘게 20여명의 연구원이 매월 모임을 갖고 재능기부 봉사단인 ‘라이프스굿 봉사단’ 활동도 함께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기술 개발과 맞춤 디자인뿐 아니라 관련사업 구상, 기술 교육, 매뉴얼 제작 등을 함께 진행한다”고 말했다.
연구회의 첫 번째 작품이 바로 태양광 충전기로, 개발하는 데 1년 이상 걸렸다. 단순히 마을에 시스템만 기증하는 게 아니라 현지 업체를 선정해 충전사업을 이어갈 수 있는 모델과 운영 방식도 고안해냈다.
문맹률이 높은 지역인 만큼 사용법도 그림으로 그려 배포했다. 연구회는 지금까지 이 시스템을 말라위에 1대, 에티오피아에 2대 전달했다.
김 연구원은 “안전한 식수를 위한 정수 시스템과 야간 교육을 위한 프로젝터 시스템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번의 원조로 변화가 생길 수는 없는 만큼 비즈니스와 연계해 지속성을 갖는 게 필수”라고 강조했다. ‘착한 기술’ 전수에 푹 빠진 연구원 3인방은 “주변에 조금만 더 관심을 갖고 자기가 하는 일에서부터 시작하면 누구나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최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만난 하윤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 UX연구실 책임연구원은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충전 포트를 정리해 넣은 케이스를 들어 보였다. 이 회사 연구원들 모임인 ‘친환경 적정기술 연구회’에서 개발한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기(솔라 멀티 차저)다. 이 연구회는 아프리카 등 빈곤 국가들에 에너지 절약형 기술을 전수하기 위해 2010년 말 결성됐다. 하 연구원과 박병주 책임연구원, 김상훈 선임연구원 등은 업무 분야가 다르지만 빈곤 국가 사람들을 기술로 돕자는 뜻을 같이했다.
연구회는 적정기술 전문가인 장수영 포항공대 교수를 지도교수로 초빙, 기술과 디자인 재능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왔다. 2년 넘게 20여명의 연구원이 매월 모임을 갖고 재능기부 봉사단인 ‘라이프스굿 봉사단’ 활동도 함께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기술 개발과 맞춤 디자인뿐 아니라 관련사업 구상, 기술 교육, 매뉴얼 제작 등을 함께 진행한다”고 말했다.
연구회의 첫 번째 작품이 바로 태양광 충전기로, 개발하는 데 1년 이상 걸렸다. 단순히 마을에 시스템만 기증하는 게 아니라 현지 업체를 선정해 충전사업을 이어갈 수 있는 모델과 운영 방식도 고안해냈다.
문맹률이 높은 지역인 만큼 사용법도 그림으로 그려 배포했다. 연구회는 지금까지 이 시스템을 말라위에 1대, 에티오피아에 2대 전달했다.
김 연구원은 “안전한 식수를 위한 정수 시스템과 야간 교육을 위한 프로젝터 시스템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번의 원조로 변화가 생길 수는 없는 만큼 비즈니스와 연계해 지속성을 갖는 게 필수”라고 강조했다. ‘착한 기술’ 전수에 푹 빠진 연구원 3인방은 “주변에 조금만 더 관심을 갖고 자기가 하는 일에서부터 시작하면 누구나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