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전략적 군사협력 확대 … '북핵 압박' 공조 틀 구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합참 대표단, 군용기 타고 訪中
군수뇌부 '핫라인' 신설도 합의
군수뇌부 '핫라인' 신설도 합의
한국과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 안정을 정착시키기 위해 군사 분야의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승조 합참의장과 팡펑후이 중국군 총참모장은 4일 베이징에서 한·중 군사회담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번 회담은 한국 합참의장이 2007년 이후 6년 만에 중국을 방문해 이뤄졌다. 합참은 회담 뒤 발표한 ‘보도문’을 통해 “양국 대표는 한·중 전략적협력 동반자 관계에 부응하도록 군사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보다 강화하기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정 의장과 팡 총참모장은 전략적 협력 확대의 첫 번째 조치로 합참의장끼리 정기적으로 전화통화로 공조할 수 있는 핫라인을 신설하기로 했다. 우리 측은 2009년 중국군이 참관할 수 있는 훈련 리스트를 중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장과 팡 총참모장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정착시키기 위한 군사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에 동의했다고 합참 관계자는 설명했다. 팡 총참모장은 “반드시 한반도 비핵화가 필요하다”고 여러 차례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합참 대표단은 사상 처음으로 C-130 군 수송기를 타고 중국을 방문했다. 군 고위급 인사가 군용기를 타고 다른 나라를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합참 관계자는 “군 수송기를 통한 방문은 양국 신뢰관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북한에도 심리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은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 앞서 북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중국과 군사 부문에서도 공조를 강화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그는 “정 의장의 중국 방문은 지난 4월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의 한·중 방문에 이은 것으로 한·미·중 3국이 비핵화를 위한 대북 압박의 군사적 공조 틀을 구축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5일 칭다오로 이동, 북해함대를 방문할 예정이다. 북해함대에는 지난 2월 중국 최초의 항공모함인 ‘랴오닝함’이 배치돼 있다. 다만 한·중 군사적 협력이 한·미 간 긴밀공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성택 기자 naive@hankyung.com
정승조 합참의장과 팡펑후이 중국군 총참모장은 4일 베이징에서 한·중 군사회담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번 회담은 한국 합참의장이 2007년 이후 6년 만에 중국을 방문해 이뤄졌다. 합참은 회담 뒤 발표한 ‘보도문’을 통해 “양국 대표는 한·중 전략적협력 동반자 관계에 부응하도록 군사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보다 강화하기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정 의장과 팡 총참모장은 전략적 협력 확대의 첫 번째 조치로 합참의장끼리 정기적으로 전화통화로 공조할 수 있는 핫라인을 신설하기로 했다. 우리 측은 2009년 중국군이 참관할 수 있는 훈련 리스트를 중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장과 팡 총참모장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정착시키기 위한 군사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에 동의했다고 합참 관계자는 설명했다. 팡 총참모장은 “반드시 한반도 비핵화가 필요하다”고 여러 차례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합참 대표단은 사상 처음으로 C-130 군 수송기를 타고 중국을 방문했다. 군 고위급 인사가 군용기를 타고 다른 나라를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합참 관계자는 “군 수송기를 통한 방문은 양국 신뢰관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북한에도 심리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은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 앞서 북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중국과 군사 부문에서도 공조를 강화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그는 “정 의장의 중국 방문은 지난 4월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의 한·중 방문에 이은 것으로 한·미·중 3국이 비핵화를 위한 대북 압박의 군사적 공조 틀을 구축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5일 칭다오로 이동, 북해함대를 방문할 예정이다. 북해함대에는 지난 2월 중국 최초의 항공모함인 ‘랴오닝함’이 배치돼 있다. 다만 한·중 군사적 협력이 한·미 간 긴밀공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성택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