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6·15공동행사 불허 근시안적 조치, 방북 허가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지역 17개 진보성향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전쟁반대 평화실현 서울행동'은 5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6·15 남북 공동행사 불허 방침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전쟁반대 서울행동은 기자회견에서 "원래 5일 6·15 공동행사를 위한 실무 접촉을 개성에서 열기로 했지만 정부가 방북 길을 막아 무산됐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이어 "정부가 당국 간 대화만을 고집하는 것은 민간 교류가 당국 간 대화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모르는 근시안적 조치"라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또 "이번 공동행사는 경색된 남북관계를 복원하고 영구 폐쇄 위기에 놓인 개성공단을 정상화하기 위한 의미 있는 민간 교류"라며 "정부는 실무 접촉을 보장하고 남북관계 개선과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행동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7일 통일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6·15 공동행사를 사실상 불허한 바 있다. 대변인은 당시 "북한이 개성공단 관련 당국 간 대화 제의는 거부하면서 민간단체를 상대로 6·15 남북 공동행사 개최를 제의하는 등 이중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
전쟁반대 서울행동은 기자회견에서 "원래 5일 6·15 공동행사를 위한 실무 접촉을 개성에서 열기로 했지만 정부가 방북 길을 막아 무산됐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이어 "정부가 당국 간 대화만을 고집하는 것은 민간 교류가 당국 간 대화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모르는 근시안적 조치"라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또 "이번 공동행사는 경색된 남북관계를 복원하고 영구 폐쇄 위기에 놓인 개성공단을 정상화하기 위한 의미 있는 민간 교류"라며 "정부는 실무 접촉을 보장하고 남북관계 개선과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행동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7일 통일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6·15 공동행사를 사실상 불허한 바 있다. 대변인은 당시 "북한이 개성공단 관련 당국 간 대화 제의는 거부하면서 민간단체를 상대로 6·15 남북 공동행사 개최를 제의하는 등 이중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