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 급물살에 현대그룹 햇살비치나…주가 시간외서 급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대화가 급물살을 타면서 대북경협사업 중단으로 타격을 입어온 현대그룹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장 주식시장에서 상장 계열사들의 주가가 꿈틀거리고 있다.
북한이 6일 남북 당국자 간 회담을 전격 제의해오자 우리 정부는 곧바로 장관급 회담을 오는 12일 서울에서 열자고 역제의했다. 개성공단·금강산관광·이산상봉 등 패키지 딜 성사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북한이 회담 일정과 장소를 우리 측에 일임했기 때문에 북한도 우리 측의 제안을 수요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아산은 북한이 당국 간 회담을 제의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현대아산은 북한의 회담 제의 소식이 전해진 직후 김종학 사장 명의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권자로서 북한의 회담 제의를 환영한다”며 “당국 간 회담을 통해 남북관계가 회복되고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사업이 조속히 정상화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2008년 금강산관광 사업 중단에 이어 최근 개성공단까지 폐쇄되면서 위기에 몰렸던 남북경협 사업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현대아산은 당국 간 합의만 이뤄지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사업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아산 관계자는 “개성공단은 폐쇄된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당국 간 합의만 이뤄지면 곧바로 가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강산관광 사업은 중단된 지 5년이나 됐기 때문에 언제 재개할 수 있을지 단정할 수 없지만 가용인력을 모두 투입하면 두 달 이내에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그룹 일각에서는 아직 당국 간 협의가 끝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좀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북한의 회담 제의와 관련해 그룹 차원의 대응보다 현대아산 주도로 상황을 파악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그룹 고위 관계자는 “그룹 차원에서 오늘, 내일 중 대책회의를 열 계획은 없다”며 “아직 최종 합의가 이뤄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켜보자는 게 그룹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편 7일 오전 8시32분 현재 시간외거래에서 현대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과 현대엘리베이터 주가가 가격제한폭 가까이 치솟고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당장 주식시장에서 상장 계열사들의 주가가 꿈틀거리고 있다.
북한이 6일 남북 당국자 간 회담을 전격 제의해오자 우리 정부는 곧바로 장관급 회담을 오는 12일 서울에서 열자고 역제의했다. 개성공단·금강산관광·이산상봉 등 패키지 딜 성사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북한이 회담 일정과 장소를 우리 측에 일임했기 때문에 북한도 우리 측의 제안을 수요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아산은 북한이 당국 간 회담을 제의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현대아산은 북한의 회담 제의 소식이 전해진 직후 김종학 사장 명의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권자로서 북한의 회담 제의를 환영한다”며 “당국 간 회담을 통해 남북관계가 회복되고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사업이 조속히 정상화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2008년 금강산관광 사업 중단에 이어 최근 개성공단까지 폐쇄되면서 위기에 몰렸던 남북경협 사업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현대아산은 당국 간 합의만 이뤄지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사업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아산 관계자는 “개성공단은 폐쇄된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당국 간 합의만 이뤄지면 곧바로 가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강산관광 사업은 중단된 지 5년이나 됐기 때문에 언제 재개할 수 있을지 단정할 수 없지만 가용인력을 모두 투입하면 두 달 이내에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그룹 일각에서는 아직 당국 간 협의가 끝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좀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북한의 회담 제의와 관련해 그룹 차원의 대응보다 현대아산 주도로 상황을 파악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그룹 고위 관계자는 “그룹 차원에서 오늘, 내일 중 대책회의를 열 계획은 없다”며 “아직 최종 합의가 이뤄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켜보자는 게 그룹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편 7일 오전 8시32분 현재 시간외거래에서 현대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과 현대엘리베이터 주가가 가격제한폭 가까이 치솟고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