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가안보국 프리즘, 감청파문 확산…사찰 내용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인터넷 감시활동 논란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보수집 도구로 알려진 '프리즘'(PRISM)의 실제 사찰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직 미국 중앙정보국(CIA)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에 따르면 NSA는 프리즘을 통해 버라이즌, AT&T,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대형 IT업체를 대상으로 방대한 고객정보를 수집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NSA는 개인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기록과 이메일은 물론 파일전송, 인터넷 메신저 대화, 소셜네트워크(SNS) 활동, 음성통화 등 세부적 내용까지 접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감시대상의 유무선 실시간 구글 검색 내용까지 감시해왔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편 10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은 이 같은 의혹과 관련, NSA의 감시활동이 주요 IT기업의 서버를 장악한 차원의 본격적인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방송은 보안전문가들을 인용해 NSA가 인터넷 트래픽을 수집·분석해 위험인물을 적발하는 감시망을 가동했더라도 방대한 정보량 때문에 그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전직 미국 중앙정보국(CIA)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에 따르면 NSA는 프리즘을 통해 버라이즌, AT&T,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대형 IT업체를 대상으로 방대한 고객정보를 수집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NSA는 개인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기록과 이메일은 물론 파일전송, 인터넷 메신저 대화, 소셜네트워크(SNS) 활동, 음성통화 등 세부적 내용까지 접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감시대상의 유무선 실시간 구글 검색 내용까지 감시해왔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편 10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은 이 같은 의혹과 관련, NSA의 감시활동이 주요 IT기업의 서버를 장악한 차원의 본격적인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방송은 보안전문가들을 인용해 NSA가 인터넷 트래픽을 수집·분석해 위험인물을 적발하는 감시망을 가동했더라도 방대한 정보량 때문에 그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