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들도 골프 치게 해주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중골프장협회 건의서
금지령 후 영업난 심화
금지령 후 영업난 심화
“공직자들 골프치게 해주세요.”
골프장들이 새 정부 출범 이후 북한의 미사일 위협 등 남북 대치 상황으로 인해 공직 사회에 내려진 ‘골프 금지령’을 풀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골프장들은 주말 부킹이 남아돌 정도로 불황을 겪고 있다. 골프장 매출이 전년 대비 20~30% 급감했다고 한다.
전국 대중골프장 사업자들의 모임인 한국대중골프장협회는 11일 “공직자들의 골프를 허용해 골프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없애고 골프산업과 내수 경기를 활성화하도록 도와달라”는 건의서를 정부와 국회, 전국 시·도 지방자치단체에 보냈다.
골프 금지령의 발단이 됐던 군은 이달 초부터 골프를 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국방부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이어지던 3월 초 일부 장성급 인사 등이 군 골프장에서 골프를 친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자 골프 금지령을 내렸다. 이와 맞물려 공직자들까지 덩달아 골프 금지 분위기가 확산됐다.
강배권 대중골프장협회장은 “일부 공직자들의 부적절한 골프를 문제 삼아 정부가 골프 금지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전체 공직 사회와 골프장업계에 대한 이미지 악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공직자들의 골프 금지 분위기는 관련 기관과 기업체까지 확산되면서 골프업계가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고 서민계층이 많은 골프장 관련 근로자들이 직장을 잃고 있다고 협회는 지적했다. 협회는 공직자들의 골프가 허용되면 홀당 이용객 수가 1065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1인당 그린피 등 라운드 관련 비용을 20만원으로 산정할 경우 매년 약 6500억원의 소비 지출 효과가 발생하며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년 1조9839억원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은구 기자 tohan@hankyung.com
골프장들이 새 정부 출범 이후 북한의 미사일 위협 등 남북 대치 상황으로 인해 공직 사회에 내려진 ‘골프 금지령’을 풀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골프장들은 주말 부킹이 남아돌 정도로 불황을 겪고 있다. 골프장 매출이 전년 대비 20~30% 급감했다고 한다.
전국 대중골프장 사업자들의 모임인 한국대중골프장협회는 11일 “공직자들의 골프를 허용해 골프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없애고 골프산업과 내수 경기를 활성화하도록 도와달라”는 건의서를 정부와 국회, 전국 시·도 지방자치단체에 보냈다.
골프 금지령의 발단이 됐던 군은 이달 초부터 골프를 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국방부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이어지던 3월 초 일부 장성급 인사 등이 군 골프장에서 골프를 친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자 골프 금지령을 내렸다. 이와 맞물려 공직자들까지 덩달아 골프 금지 분위기가 확산됐다.
강배권 대중골프장협회장은 “일부 공직자들의 부적절한 골프를 문제 삼아 정부가 골프 금지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전체 공직 사회와 골프장업계에 대한 이미지 악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공직자들의 골프 금지 분위기는 관련 기관과 기업체까지 확산되면서 골프업계가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고 서민계층이 많은 골프장 관련 근로자들이 직장을 잃고 있다고 협회는 지적했다. 협회는 공직자들의 골프가 허용되면 홀당 이용객 수가 1065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1인당 그린피 등 라운드 관련 비용을 20만원으로 산정할 경우 매년 약 6500억원의 소비 지출 효과가 발생하며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년 1조9839억원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은구 기자 to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