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할인에도 한도가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차, 할인에도 한도가 있다](https://img.hankyung.com/photo/201306/BE.7541236.1.jpg)
최근엔 수입 업체들이 홈쇼핑을 통해 '폭탄 세일'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최근 혼다코리아는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CR-Z를 기존 3,490만원에서 2,490만원에 판매했다. 할인액은 1,000만원, 할인율은 28.65%에 이른다. 지난해 포드는 대형 세단 토러스의 연식변경에 맞춰 구형 차종을 4,550만원에서 3,750만원으로 낮추기도 했다. 800만원(17.58%)을 깎았다.
가장 '화끈했던' 할인은 지금도 인구에 회자되는 1997년 기아차 특판이었다. IMF 당시 유동성 확보를 위해 기아차는 당시 주력 차종이었던 크레도스와 세피아 등을 현금 일시불 구매 시 29.9%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 바 있다. 반응은 엄청나서 하루 판매실적이 국내 자동차 판매 사상 최고치인 2만959대에 이를 정도였다.
![신차, 할인에도 한도가 있다](https://img.hankyung.com/photo/201306/BE.7541237.1.jpg)
일반적으로 신차 할인은 30%가 넘으면 위법이다. 따라서 직원 할인도 30% 미만이 대부분이다. 공정거래 때문이다.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에 '30%'라는 숫자가 표기된 것은 아니지만 업계에선 오래 전부터 30% 미만을 지켜오고 있다.
또 하나는 국내 세법상 할인율이 30%를 넘으면 소비자가 오히려 돈을 더 내야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정상가액의 30% 이상 할인 판매할 경우 기업이 소비자에게 재산을 증여한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신차를 35%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면 5% 만큼 기업이 소비자에게 증여한 셈이 된다. 이 경우 소비자는 증여세를 납부해야 한다.
![신차, 할인에도 한도가 있다](https://img.hankyung.com/photo/201306/BE.7541238.1.jpg)
전문가들은 과도한 할인이 결코 소비자에게 이득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정가가 지켜지지 않으면 시장이 왜곡될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신차 가격이 낮아지면 그만큼 되팔 때 중고차 가치도 떨어지며, 무상 제공 편의품목은 유상으로 전환된다. 또한 서비스 및 금융 비용이 증가된다. 결국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짐이라는 얘기다. 할인을 '조삼모사(朝三暮四)'로 비유하는 배경이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