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올 4월25일~5월13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전국 중·고교생 3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측정했다. 전체 응답자의 27.6%가 잠재적 위험군, 7.6%는 고위험군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결과는 1~2년 전에 비해 월등하게 높아진 수치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1년 조사에선 중독률이 11.4%, 지난해 조사에선 18.4%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선 여학생의 중독률(42.6%)이 남학생(28.6%)보다 높았다. 또한 고등학생(37.4%)이 중학생(33%)보다 높은 중독률을 보였다.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쓴다는 지적을 받은 적 있다(50.1%) △스마트폰을 못 쓰면 견디기 힘들 것이다(43.9%) △스마트폰을 하느라 공부나 숙제를 하기 어렵다(43.8%)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없다(35.5%)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으로 성적이 떨어졌다(31.4%) 등의 응답을 한 학생들도 많았다.
이번 조사에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스마트폰 중독척도(S-척도)를 활용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79%였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