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KB의 '학습효과' 사라질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신영 금융부 기자 nyusos@hankyung.com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의 최측근은 누구인가요?” “차기 국민은행장은 누가 될까요?” “행장이 결정되면 부행장들은 일괄 사표를 내야 하나요?”
요즘 국민은행을 비롯한 KB지주 계열사 임원들을 만날 때마다 듣는 얘기다. 여러 사람의 실명을 거명하며 꼬치꼬치 캐묻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에게선 공통적으로 자신의 앞날에 대한 짙은 불안감을 읽을 수 있다. 누가 차기 행장이 될 것인지, 어떤 사람이 주요 보직의 부행장이 될 것인지를 알아야 자신의 거취를 위한 ‘사전 작업’을 할 수 있다고 판단, 정보수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KB지주와 계열사 직원들의 이 같은 행태에 대한 금융권의 시선은 싸늘하다. 2001년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이 합병해 국내 최대 은행으로 재탄생하면서 금융권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조직이 오히려 금융 발전의 걸림돌이 돼 버렸다는 일종의 배신감이다. 능력보다 정치력이 더 중요한 곳에 무슨 미래가 있겠느냐며 ‘돌직구’를 던지는 이들도 적지 않다.
KB 임직원도 할 말이 많을 것이다. 주인 없는 회사이다 보니 회장이 바뀔 때마다 권력 구도가 요동쳤고, 그 틈바구니에서 ‘정치 세력’이 득세하는 역사를 겪어 왔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의 한 지점장은 “실력으로 보면 A가 올라가야 맞는데, 뚜껑을 열어보면 로비를 열심히 한 B가 발탁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며 “이런 분위기에서 누가 업무에만 매달릴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누적된 ‘학습효과’로 인해 인사철이 닥칠 때마다 연줄을 찾아 로비하는 풍토가 만연해 있다는 푸념이다. 실제로 지주사 경영진이 교체될 때마다 한직과 핵심 보직을 오가는 ‘셔틀’ 인사가 적잖게 목격된다.
다행히 KB지주를 이끌어갈 임 회장 내정자는 이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 듯하다. 틈날 때마다 “무조건 실력을 기준으로 인사를 할 것”이라고 강조하는 데서 ‘새판 짜기’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이제 그에게는 자신의 발언이 관치금융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미봉책이 아님을 입증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다음달 12일 주총에서 임 회장 내정자의 선임이 확정된 뒤 본격화될 KB지주 인사에 주목하는 이유다. 공정한 인사는 이탈한 KB지주를 정상궤도로 올라서게 하는 일일 뿐만 아니라, 한국 금융시장 선진화의 교두보 구축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박신영 금융부 기자 nyusos@hankyung.com
요즘 국민은행을 비롯한 KB지주 계열사 임원들을 만날 때마다 듣는 얘기다. 여러 사람의 실명을 거명하며 꼬치꼬치 캐묻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에게선 공통적으로 자신의 앞날에 대한 짙은 불안감을 읽을 수 있다. 누가 차기 행장이 될 것인지, 어떤 사람이 주요 보직의 부행장이 될 것인지를 알아야 자신의 거취를 위한 ‘사전 작업’을 할 수 있다고 판단, 정보수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KB지주와 계열사 직원들의 이 같은 행태에 대한 금융권의 시선은 싸늘하다. 2001년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이 합병해 국내 최대 은행으로 재탄생하면서 금융권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조직이 오히려 금융 발전의 걸림돌이 돼 버렸다는 일종의 배신감이다. 능력보다 정치력이 더 중요한 곳에 무슨 미래가 있겠느냐며 ‘돌직구’를 던지는 이들도 적지 않다.
KB 임직원도 할 말이 많을 것이다. 주인 없는 회사이다 보니 회장이 바뀔 때마다 권력 구도가 요동쳤고, 그 틈바구니에서 ‘정치 세력’이 득세하는 역사를 겪어 왔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의 한 지점장은 “실력으로 보면 A가 올라가야 맞는데, 뚜껑을 열어보면 로비를 열심히 한 B가 발탁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며 “이런 분위기에서 누가 업무에만 매달릴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누적된 ‘학습효과’로 인해 인사철이 닥칠 때마다 연줄을 찾아 로비하는 풍토가 만연해 있다는 푸념이다. 실제로 지주사 경영진이 교체될 때마다 한직과 핵심 보직을 오가는 ‘셔틀’ 인사가 적잖게 목격된다.
다행히 KB지주를 이끌어갈 임 회장 내정자는 이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 듯하다. 틈날 때마다 “무조건 실력을 기준으로 인사를 할 것”이라고 강조하는 데서 ‘새판 짜기’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이제 그에게는 자신의 발언이 관치금융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미봉책이 아님을 입증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다음달 12일 주총에서 임 회장 내정자의 선임이 확정된 뒤 본격화될 KB지주 인사에 주목하는 이유다. 공정한 인사는 이탈한 KB지주를 정상궤도로 올라서게 하는 일일 뿐만 아니라, 한국 금융시장 선진화의 교두보 구축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박신영 금융부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