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수신료 담합·부당압력 의혹 파헤쳐야"
케이블TV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로부터 수신료를 배분받기 위한 종합편성채널(종편)들의 담합과 부당 압력 의혹에 대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이 진상 규명과 수신료 배분 요구 중단을 공동으로 촉구하고 나섰다.

케이블TV방송협회 PP협의회(회장 최종천)는 20일 성명을 내고 “종편 사업자들은 담합 등 언론 권력을 통한 유료방송 수신료 지급 강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최민희 민주당 의원이 지난 13일 국회에서 공개한 ‘종편 4사의 담합 비밀 문건’에 대해서도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종편들이 거액의 수신료 배분 특혜를 따내기 위해 정부와 국회에 로비를 하고, 특정 종합유선방송사업자(CJ헬로비전)를 상대로 언론 권력을 동원해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정황이 비밀 문건에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이어 “종편이 의무전송과 10번대 황금채널 등 파격적인 특혜를 받은 것도 모자라 수신료 배분까지 요구하고 있다”며 “이것이 현실화되면 일반 PP들은 종편으로 인한 광고수입 감소에 이어 수신료 매출까지 줄어들어 심각한 경영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이와 관련, 종편이 수신료 배분을 계속 요구하려면 의무 편성 혜택부터 포기하라고 촉구했다.

PP협의회는 케이블TV방송협회에 회원사로 가입한 PP들의 모임이다. 52개 법인(채널 수 102개)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달 종편의 수신료 지급 요구에 대한 반대 성명을 발표한 개별PP발전연합회는 중소 PP들의 모임인 데 반해 이 협의회에는 대기업 계열 PP와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 계열 PP, 종편인 MBN도 참여하고 있다. 다른 종편사인 JTBC와 TV조선, 채널A는 빠져 있다.

협회 관계자는 “일부 회원사의 반발을 감수하고 협의회가 성명을 낸 것은 비밀 문건을 통해 표면화된 종편들의 수신료 지급 요구와 부당 압력에 대해 대부분의 회원사가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