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후폭풍] 미국 다우지수 353.87↓ 올 들어 최대폭 하락 … 양적완화 축소 '경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증시에서 '버냉키 후폭풍'이 이틀째 계속됐다. 20일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일제히 급락했다. 5,6월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53.87포인트(2.34%) 내린 1만4758.32로 마감해 심리적 지지선인 1만5000선을 내줬다. 2011년 11월3일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주저앉았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0.74포인트(2.50%) 떨어진 1588.19로 마감했다. 2011년 11월 이후 최대 하락률이다. 나스닥종합지수는 78.57포인트(2.28%) 내린 3364.64를 나타냈다.
전날 벤 버냉키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연말 양적완화 규모 축소에 나서 내년 중반 전면 중단할 수도 있다고 밝혀 충격이 지속됐다. 그는 Fed 전망과 달리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할 경우 경기 부양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했지만 시장 불안을 잠재우지 못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과 중국의 경제지표도 주가 하락을 부추겼다.
미국의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35만4000건으로 집계돼 전주(1만8000건)보다 웃돌았다. 시장 전망치 34만 건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중국의 6월 HSBC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잠정치는 48.3으로 시장 전망치보다 낮았다. 시장 전망치 49.1를 밑돌았다. PMI가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을, 50에 못 미치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미국의 지난달 기존 주택거래 실적은 호조를 보였다. 518만 채로 조사돼 3년 반 만에 가장 많았다. 전문가 예상치 평균(500만 채)보다도 훨씬 웃돌았다.
이번 증시 충격과 관련해 일부 전문가들은 출구전략의 여파보다 경제가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NN머니는 조 퀴란 US트러스트 수석전략의 말을 인용, "달러화 강세와 미국 주도의 글로벌 경제 성장에 힘입어 세계 경제가 다시 일어설 것" 이라며 "주식시장에서 지금이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한경닷컴 이하나 기자 lhn@hankyung.com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53.87포인트(2.34%) 내린 1만4758.32로 마감해 심리적 지지선인 1만5000선을 내줬다. 2011년 11월3일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주저앉았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0.74포인트(2.50%) 떨어진 1588.19로 마감했다. 2011년 11월 이후 최대 하락률이다. 나스닥종합지수는 78.57포인트(2.28%) 내린 3364.64를 나타냈다.
전날 벤 버냉키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연말 양적완화 규모 축소에 나서 내년 중반 전면 중단할 수도 있다고 밝혀 충격이 지속됐다. 그는 Fed 전망과 달리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할 경우 경기 부양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했지만 시장 불안을 잠재우지 못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과 중국의 경제지표도 주가 하락을 부추겼다.
미국의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35만4000건으로 집계돼 전주(1만8000건)보다 웃돌았다. 시장 전망치 34만 건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중국의 6월 HSBC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잠정치는 48.3으로 시장 전망치보다 낮았다. 시장 전망치 49.1를 밑돌았다. PMI가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을, 50에 못 미치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미국의 지난달 기존 주택거래 실적은 호조를 보였다. 518만 채로 조사돼 3년 반 만에 가장 많았다. 전문가 예상치 평균(500만 채)보다도 훨씬 웃돌았다.
이번 증시 충격과 관련해 일부 전문가들은 출구전략의 여파보다 경제가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NN머니는 조 퀴란 US트러스트 수석전략의 말을 인용, "달러화 강세와 미국 주도의 글로벌 경제 성장에 힘입어 세계 경제가 다시 일어설 것" 이라며 "주식시장에서 지금이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한경닷컴 이하나 기자 lh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