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모두 회원국으로 참여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 한 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첫 남북 장관급 만남이 성사될지 주목된다.

내달 2일 브루나이에서 열리는 ARF에 북한에서는 박의춘 외무상이 대표단을 이끌고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양자 및 다자 차원에서 최근 계속 '대화 공세'를 펴고 있다는 점에서 ARF를 무대로도 대화 공세를 펼 가능성이 크다.

이런 차원에서 북한은 ARF 회의를 계기로 남북 외교장관간 회동을 제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우리 정부 대표단을 이끌고 참석할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27∼30일) 수행 뒤 곧바로 브루나이로 이동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기본적으로는 "남북이 못 만날 이유는 없다"(정부 고위당국자)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만남을 제안하고 우리가 화답할 경우 ARF를 계기로 남북 외교수장간 별도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비핵화 문제에 대해 남북간 입장차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북핵 문제를 담당하는 남북 외교수장이 사전 접촉없이 별도로 회동하기보다는 ARF 회의장에서 단순 '조우'하는 데 그칠 수도 있다는 관측도 같이 나오고 있다.

남북 외교수장간 만남이 북한의 선전장으로 변질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북한이 접촉을 희망한다고 해도 정부가 별도 회동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정부 고위소식통은 24일 "남북 외교장관이 회의장에서 만나면 인사야 하겠지만 현재 여건상 두 사람간 별도로 회동하는 것은 쉽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