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영의 새로운 도전…카드 22종 → 7종 '단순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년만에 상품 전면 개편
선택과 집중 통해 수익 향상
선택과 집중 통해 수익 향상
![정태영 현대카드 사장이 24일 기자간담회에서 22가지에 이르던 알파벳카드 종류를 7가지로 대폭 줄이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현대카드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1306/AA.7581345.1.jpg)
정 사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현대카드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03년 현대카드M을 출시한 이후 10년 만에 상품구조를 전면 개편하기로 했다”며 “M·M2·M3·T2 주력상품 4종을 제외한 22종의 알파벳카드 신규 발급을 중단하고, 신상품인 X·X2 2종과 할인전문카드 ZERO를 합해 총 7가지 종류로 단순화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카드가 상품군을 확 줄이기로 한 것은 주력상품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정 사장은 “시장에 수백 가지의 유사한 카드가 남발돼 소비자들이 혜택을 찾아서 누리거나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어려웠다”며 “이번 상품 단순화 개편작업으로 카드업계에 새로운 시스템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는 ‘현대카드다운 파격적 실험’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특화카드를 처음 도입한 것이 현대카드였기 때문이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카드 상품을 출시한다는 전략을 스스로 폐기하고 포인트와 캐시백으로 혜택을 이원화한 것은 처음 시도하는 것이다.
상품별로는 M시리즈와 T2카드는 포인트적립형카드다. 전월 실적 50만원이 넘는 경우 가맹점에 따라 기본 0.5~2.0%의 포인트가 적립되고 사용금액에 따라 최대 기본적립률의 2배까지 포인트를 적립해준다.
X와 X2카드는 캐시백형 상품으로 전월실적이 50만원 이상인 경우 이용금액에 따라 0.5~1%의 기본 캐시백이 적립한도나 횟수 등에 상관없이 제공된다.
현대카드는 기존 알파벳 카드 고객들에 대한 서비스는 카드유효기간까지 유지하면서 새로운 카드로 교체를 유도하거나 새로운 상품체계에 따라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