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캔 100% 재활용의 꿈…노벨리스코리아 "Yes, We Can"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환경보호와 에너지 비용 절감을 위해 알루미늄 재활용률을 더욱 높여갈 계획입니다.”(양원구 노벨리스코리아 리사이클링센터장)
지난 25일 경북 영주시 적서동 노벨리스코리아 리사이클링센터 옆 야적장.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등 세계 각국에서 온 폐 알루미늄 캔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지게차가 쉴 새 없이 캔 덩어리를 파쇄기로 실어 날랐다.
2005년 설립된 노벨리스코리아는 폐 알루미늄 캔을 녹여 반제품(압연 코일)을 만드는 회사다. 모기업인 미국 노벨리스그룹은 영주 공장에 4억달러를 투자, 작년 9월 리사이클링 공장을 완공했다. 공장 설립 9개월여 만인 이달 중순 재활용한 캔이 50억개를 넘어섰다. 양 센터장은 “매달 1만7000씩 알루미늄 코일을 만들어냈다”며 “재활용 캔을 만들면 보크사이트(알루미늄의 원료 광물)에서 알루미늄을 뽑아내 새 캔을 만드는 것보다 에너지가 95%가량 덜 든다”고 말했다.
이 회사의 알루미늄 리사이클링 공장은 2만㎡ 규모다. 공장 전체가 자동화돼 있으며, 80여명의 관리 직원이 4교대로 근무한다. 이곳에서는 못쓰게 된 알루미늄을 파쇄와 분류, 열처리 과정을 거친 뒤 알루미늄 덩어리(잉곳)를 만든다. 이를 옆에 있는 열연 공장으로 보내 판재를 생산한다. 이 판재를 캔 공장에 납품하면 재활용 캔이 탄생한다.
노벨리스코리아의 영주 공장에선 재활용 알루미늄(70~80%)에 순수 알루미늄 덩어리(20~30%)를 섞어 제품을 만들고 있다. 양 센터장은 “버려진 캔 안의 이물질을 없애고 알루미늄을 순화하는 과정을 거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며 “이 때문에 100% 재활용 캔을 만들어내는 게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노벨리스그룹은 지난 5월 100% 재활용 알루미늄으로 만든 시제품 캔(에버캔)을 만들었지만 양산은 하지 못하고 있다. 노벨리스코리아는 지난해 1조8212억원의 매출에 103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영주=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지난 25일 경북 영주시 적서동 노벨리스코리아 리사이클링센터 옆 야적장.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등 세계 각국에서 온 폐 알루미늄 캔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지게차가 쉴 새 없이 캔 덩어리를 파쇄기로 실어 날랐다.
2005년 설립된 노벨리스코리아는 폐 알루미늄 캔을 녹여 반제품(압연 코일)을 만드는 회사다. 모기업인 미국 노벨리스그룹은 영주 공장에 4억달러를 투자, 작년 9월 리사이클링 공장을 완공했다. 공장 설립 9개월여 만인 이달 중순 재활용한 캔이 50억개를 넘어섰다. 양 센터장은 “매달 1만7000씩 알루미늄 코일을 만들어냈다”며 “재활용 캔을 만들면 보크사이트(알루미늄의 원료 광물)에서 알루미늄을 뽑아내 새 캔을 만드는 것보다 에너지가 95%가량 덜 든다”고 말했다.
이 회사의 알루미늄 리사이클링 공장은 2만㎡ 규모다. 공장 전체가 자동화돼 있으며, 80여명의 관리 직원이 4교대로 근무한다. 이곳에서는 못쓰게 된 알루미늄을 파쇄와 분류, 열처리 과정을 거친 뒤 알루미늄 덩어리(잉곳)를 만든다. 이를 옆에 있는 열연 공장으로 보내 판재를 생산한다. 이 판재를 캔 공장에 납품하면 재활용 캔이 탄생한다.
노벨리스코리아의 영주 공장에선 재활용 알루미늄(70~80%)에 순수 알루미늄 덩어리(20~30%)를 섞어 제품을 만들고 있다. 양 센터장은 “버려진 캔 안의 이물질을 없애고 알루미늄을 순화하는 과정을 거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며 “이 때문에 100% 재활용 캔을 만들어내는 게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노벨리스그룹은 지난 5월 100% 재활용 알루미늄으로 만든 시제품 캔(에버캔)을 만들었지만 양산은 하지 못하고 있다. 노벨리스코리아는 지난해 1조8212억원의 매출에 103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영주=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