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일본 샤프+중국 판다 합작 위협요소"-이트레이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트레이드증권은 27일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업체에 대해 일본의 샤프와 중국 CEC-판다의 합작 가능성은 상당한 위협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현지 언론은 전날(26일) 샤프가 중국 패널업체인 판다와 손잡고 2015년부터 중국 난징시에서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전병기 이트레이드증권 연구원은 "샤프와 판다의 합작이 이루어진다면 일본의 기술과 중국의 생산효율 및 자본력이 합쳐져 한국 패널업체들에는 상당한 위협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샤프는 새 공장에 300억엔(약 3500조 원)을 투입해 지분 10%를 확보하고 IGZO(산화물 TFT) 기술을 판다에 제공할 예정이다. 샤프는 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패널의 최대 절반을 살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고 판다로부터 IGZO 기술 사용료를 챙길 것으로 보인다.
전 연구원은 "합작사를 통해 질 좋은 패널을 값싸게 생산해 낸다면 이는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에게 큰 위협이 될 것"이라며 "성숙할 대로 성숙한 LCD 산업은 점점 더 수익을 얻기가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이 LCD에만 머물다가는 지난 4~5년간 지속된 메모리 반도체업계의 치킨게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며 "앞으로 국내업체들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 투자에 대한 긍정적 전망과 함께 관련 산업(OLED 장비/소재 업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현지 언론은 전날(26일) 샤프가 중국 패널업체인 판다와 손잡고 2015년부터 중국 난징시에서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전병기 이트레이드증권 연구원은 "샤프와 판다의 합작이 이루어진다면 일본의 기술과 중국의 생산효율 및 자본력이 합쳐져 한국 패널업체들에는 상당한 위협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샤프는 새 공장에 300억엔(약 3500조 원)을 투입해 지분 10%를 확보하고 IGZO(산화물 TFT) 기술을 판다에 제공할 예정이다. 샤프는 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패널의 최대 절반을 살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고 판다로부터 IGZO 기술 사용료를 챙길 것으로 보인다.
전 연구원은 "합작사를 통해 질 좋은 패널을 값싸게 생산해 낸다면 이는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에게 큰 위협이 될 것"이라며 "성숙할 대로 성숙한 LCD 산업은 점점 더 수익을 얻기가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이 LCD에만 머물다가는 지난 4~5년간 지속된 메모리 반도체업계의 치킨게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며 "앞으로 국내업체들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 투자에 대한 긍정적 전망과 함께 관련 산업(OLED 장비/소재 업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