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휘어지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액정 필름 코팅을 화합물 처리로 대체한 게 핵심이다.

왼쪽부터 강신웅·이승희·이명훈 교수.
왼쪽부터 강신웅·이승희·이명훈 교수.
전북대는 강신웅·이승희(이상 대학원 BIN융합공학과)·이명훈(유연인쇄전자전문대학원)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 같은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연구는 기능성 재료분야 해외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6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TV 제조에 필수적인 배향막 처리 공정 없이 액정의 수직배열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핵심은 투명전극 위에 깔리는 얇은 고분자 필름인 배향막 공정의 생략.

현재 LCD TV 제조에는 액정 배열 제어를 위한 배향막 코팅이 필수 공정이다. 그러나 배향막은 고분자 설계·합성부터 사후처리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비된다. 또한 고온의 열을 가하는 공정으로 인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상용화에 걸림돌이 됐다.

연구팀은 배향막 공정 없이 액정에 소량의 특정 화합물을 첨가, 자외선 처리해 액정의 안정적 수직배향 유도와 선경사각 제어가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LCD TV 제조시 별도 배향막 코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 고온의 열을 가하는 공정도 필요치 않아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 휘는 디스플레이 상용화에도 많은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 기술은 현재 국내특허 출원을 완료했고 미국과 유럽, 중국 등 해외특허 출원도 진행하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강신웅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가격 경쟁력 있는 고성능 액정 디스플레이 개발에 일조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빨리 상용화 해 우리나라의 LCD 산업 경쟁력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