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주요국 가운데 여성이 임원으로 승진하기 가장 어려운 나라는 일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 2위에 올랐다.

7일 미국의 기업지배구조 분석기관 GMI레이팅스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일본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은 전체의 1.1%에 불과해 꼴찌를 차지했다.

한국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도 1.9%로, 조사 대상 45개국 가운데 두 번째로 낮았다.

이는 GMI레이팅스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세계지수, 신흥국지수 등에 포함된 45개국 대표기업 5977개사를 대상으로 이사회 내 여성임원 숫자를 조사한 결과다.

한국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은 선진국 평균인 11.8%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낮았고 신흥국 평균인 7.4%에도 미치지 못했다.

여성 임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노르웨이(36.1%)로 임원 5명 중 2명꼴로 여성이다. 노르웨이와 함께 스웨덴(27.0%), 핀란드(26.8%), 프랑스(18.3%) 등 여성임원 할당제를 도입한 나라들이 1~4위에 올랐다.

여성임원 할당제는 기업 내 여성 고위직을 늘리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 비율을 충족하지 못했을 때 벌금을 부과하거나 정부 보조금 지원을 제한하는 제도다.

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COO), 인드라 누이 펩시 최고경영자(CEO), 맥 휘트먼 휼렛팩커드(HP) CEO 등 유명 여성임원이 포진한 미국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은 14.0%로 12위 수준이었다.

아시아에서는 태국의 여성임원 비율이 9.7%로 가장 높았다. 홍콩과 중국의 비율은 각각 9.5%, 8.4%였다.

최소한 한 명 이상의 여성 임원이 있는 기업의 비율도 한국(15.1%)과 일본(12.1%)이 최하위였다.

반면 핀란드와 스웨덴에서는 조사에 포함된 모든 기업에 한 명 이상의 여성임원이 있었다. 중국에선 절반 이상의 기업(54.7%)들이 한 명 이상의 여성임원을 뒀다.

여성이 CEO인 한국 기업의 비율은 1.9%로 전체 평균인 2.3%보다 소폭 낮았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최은영 한진해운 회장, 신영자 롯데쇼핑 사장, 김은선 보령제약 사장, 양윤선 메디포스트 사장, 박지영 컴투스 사장 등이 국내 대표 여성 CEO로 꼽힌다.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기업 1787개 가운데 여성이 CEO인 곳은 13곳(0.73%)인데, 오너 가족이 아닌 CEO는 4명에 불과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