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스마트폰 데이터 60% 웹서핑에 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A, 이용행태 조사
한국인은 스마트폰을 쓰면서 인터넷 서핑에 가장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연간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은 150.6페타바이트(PB)였다. 1PB는 1024테라바이트(TB)에 해당한다. 1TB는 1024기가바이트(GB)다. 지난 한 해 동안 한국인은 스마트폰으로만 1억5792만GB의 데이터를 사용한 셈이다.
이 가운데 한국인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인터넷 서핑을 하는 데 90.9PB를 사용해 전체 이용량의 60.3%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데 한 해 동안 28.6PB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동영상을 보는 데는 24.4PB가 쓰였다.
SA는 올해 한국인이 스마트폰으로 사용하는 연간 데이터량이 지난해보다 53.7%가량 증가한 231.5PB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도 전체 사용량의 절반이 넘는 118PB가 인터넷 서핑에 쓰일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SA 측은 “내년부턴 인터넷 서핑보다 동영상을 보는 데 더 많은 데이터가 쓰일 것”으로 내다봤다. SA가 예측하는 2014년 연간 데이터 사용량은 354.1PB로, 이 중 동영상을 보는 데 163.7PB를 쓸 것으로 예상했다. 인터넷 서핑 예상 사용량은 148.9PB였다. 이 같은 추세는 2017년까지 이어지면서 동영상을 보는 데 쓰는 데이터 사용량은 연평균 72.2% 늘어날 것으로 SA는 내다봤다.
이는 고화질 동영상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롱텀에볼루션(LTE)과 LTE 어드밴스트(LTE-A) 등 속도가 빠른 통신 네트워크가 상용화되고 있는 데다 풀H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폰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기 때문이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연간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은 150.6페타바이트(PB)였다. 1PB는 1024테라바이트(TB)에 해당한다. 1TB는 1024기가바이트(GB)다. 지난 한 해 동안 한국인은 스마트폰으로만 1억5792만GB의 데이터를 사용한 셈이다.
이 가운데 한국인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인터넷 서핑을 하는 데 90.9PB를 사용해 전체 이용량의 60.3%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데 한 해 동안 28.6PB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동영상을 보는 데는 24.4PB가 쓰였다.
SA는 올해 한국인이 스마트폰으로 사용하는 연간 데이터량이 지난해보다 53.7%가량 증가한 231.5PB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도 전체 사용량의 절반이 넘는 118PB가 인터넷 서핑에 쓰일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SA 측은 “내년부턴 인터넷 서핑보다 동영상을 보는 데 더 많은 데이터가 쓰일 것”으로 내다봤다. SA가 예측하는 2014년 연간 데이터 사용량은 354.1PB로, 이 중 동영상을 보는 데 163.7PB를 쓸 것으로 예상했다. 인터넷 서핑 예상 사용량은 148.9PB였다. 이 같은 추세는 2017년까지 이어지면서 동영상을 보는 데 쓰는 데이터 사용량은 연평균 72.2% 늘어날 것으로 SA는 내다봤다.
이는 고화질 동영상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롱텀에볼루션(LTE)과 LTE 어드밴스트(LTE-A) 등 속도가 빠른 통신 네트워크가 상용화되고 있는 데다 풀H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폰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기 때문이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