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송전탑 우회송전 불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협의체 "지중화도 어려워 건설 외 대안 없어"
"한전 보고서 베끼기"…주민들 반발 여전
"한전 보고서 베끼기"…주민들 반발 여전
경남 밀양 송전탑 건설을 둘러싼 갈등을 풀기 위해 구성된 전문가협의체의 위원 과반수가 신규 대신 기존 선로를 활용한 송전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냈다. 송전선을 땅에 묻는 지중화 또한 기존 선로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로 검토할 필요성이 없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백수현 밀양 송전탑 전문가협의체 위원장은 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 이 같은 내용의 최종보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전문가협의체는 반대 측 주민들의 요구를 국회가 받아들여 지난달 5일 구성됐다. 한국전력과 반대 주민, 국회가 3명씩 추천한 총 9명의 위원이 40일 동안 반대 주민들이 주장했던 기존 송전 선로를 활용한 송전 방안과 지중화 작업을 통한 송전 가능성 등을 검토했다.
검토 결과 반대 주민들이 추천한 김영창 위원을 포함해 백 위원장 및 김발호(여당 추천), 문승일 정태호 장연수(이상 한전 추천) 위원 등 협의체 위원 9명 중 6명이 기존 선로를 보강해도 전력 송전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냈다. 밀양 송전망이 연결될 신고리 3·4호기가 있는 부산 기장에는 신양산·신울산·울주 변전소 등 총 3곳을 연결하는 송전선로가 있다. 이들 위원이 고리~신양산 변전소 송전선로를 분석한 결과 송전선의 2개 회선이 고장나면 원전 7개의 발전이 자동으로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되면 2011년 9·15 순환 단전 사태보다 심각한 광역 정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전력 공급 안정성을 위해 새로운 송전선로 건설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반대 측 주민들이 송전선을 땅에 묻는 지중화를 요구한 것에 대해서는 “기존 송전망을 이용해야 지중화 공사도 할 수 있다”며 “기존 송전망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지중화 문제를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국회 권고로 전문가들이 기술적인 검토를 거쳐 결론이 난 만큼 국회에서 최종 결론을 하루빨리 모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반대 주민 측은 “이번 보고서는 한전이 제공한 자료를 일방적으로 베낀 것”이라고 주장하며 국회가 보고서 심의를 거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보고서를 제출받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는 11일 의원 간담회를 열고 전문가협의체의 보고 내용을 논의한 뒤 권고안 채택 여부 등을 결정하기로 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백수현 밀양 송전탑 전문가협의체 위원장은 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 이 같은 내용의 최종보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전문가협의체는 반대 측 주민들의 요구를 국회가 받아들여 지난달 5일 구성됐다. 한국전력과 반대 주민, 국회가 3명씩 추천한 총 9명의 위원이 40일 동안 반대 주민들이 주장했던 기존 송전 선로를 활용한 송전 방안과 지중화 작업을 통한 송전 가능성 등을 검토했다.
검토 결과 반대 주민들이 추천한 김영창 위원을 포함해 백 위원장 및 김발호(여당 추천), 문승일 정태호 장연수(이상 한전 추천) 위원 등 협의체 위원 9명 중 6명이 기존 선로를 보강해도 전력 송전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냈다. 밀양 송전망이 연결될 신고리 3·4호기가 있는 부산 기장에는 신양산·신울산·울주 변전소 등 총 3곳을 연결하는 송전선로가 있다. 이들 위원이 고리~신양산 변전소 송전선로를 분석한 결과 송전선의 2개 회선이 고장나면 원전 7개의 발전이 자동으로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되면 2011년 9·15 순환 단전 사태보다 심각한 광역 정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전력 공급 안정성을 위해 새로운 송전선로 건설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반대 측 주민들이 송전선을 땅에 묻는 지중화를 요구한 것에 대해서는 “기존 송전망을 이용해야 지중화 공사도 할 수 있다”며 “기존 송전망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지중화 문제를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국회 권고로 전문가들이 기술적인 검토를 거쳐 결론이 난 만큼 국회에서 최종 결론을 하루빨리 모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반대 주민 측은 “이번 보고서는 한전이 제공한 자료를 일방적으로 베낀 것”이라고 주장하며 국회가 보고서 심의를 거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보고서를 제출받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는 11일 의원 간담회를 열고 전문가협의체의 보고 내용을 논의한 뒤 권고안 채택 여부 등을 결정하기로 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