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합리화] 공공기관 4년간 7만명 채용…"스펙 안 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공공기관 일자리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295개 공공기관이 내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 일자리 7만개를 창출할 예정이다. 정부는 8일 공공기관 합리화 정책을 발표하면서 이 같은 내용의 공공기관 일자리 창출 방향도 함께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우선 공공기관에서 정년퇴직(1만2500개)과 명예퇴직(1만6000개) 등 결원으로 생긴 일자리 가운데 2만4500개를 충원하기로 했다. 다만 기능이 중복되거나 필요하지 않은 일자리는 구조조정을 통해 4000개가량 줄이기로 했다.
또 임금피크제를 도입, 줄어드는 비용으로 일자리 1만개를 늘릴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여성들이 육아휴직이나 파견을 가면 별도 정원으로 인정, 5000명을 추가로 뽑기로 했다. 지금은 여성이 육아 휴직을 하면 정원을 늘릴 수 없다는 이유로 그 자리를 공석으로 두고 있다.
시간제 근로자 채용으로 인한 선택형 일자리는 4500개 늘어나고, 통신보안이나 안전관리, 보건복지 등 일자리 수요가 늘어나는 분야에서도 인력 2만6000명을 신규로 증원하기로 했다.
학벌과 나이 등 ‘스펙’을 고려하지 않는 새로운 채용방식도 도입한다. 정부는 조만간 지원자의 인성이나 적성을 평가하기 위해 공공기관 공통 직무능력 평가 방법을 마련할 방침이다.
세종=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기획재정부는 우선 공공기관에서 정년퇴직(1만2500개)과 명예퇴직(1만6000개) 등 결원으로 생긴 일자리 가운데 2만4500개를 충원하기로 했다. 다만 기능이 중복되거나 필요하지 않은 일자리는 구조조정을 통해 4000개가량 줄이기로 했다.
또 임금피크제를 도입, 줄어드는 비용으로 일자리 1만개를 늘릴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여성들이 육아휴직이나 파견을 가면 별도 정원으로 인정, 5000명을 추가로 뽑기로 했다. 지금은 여성이 육아 휴직을 하면 정원을 늘릴 수 없다는 이유로 그 자리를 공석으로 두고 있다.
시간제 근로자 채용으로 인한 선택형 일자리는 4500개 늘어나고, 통신보안이나 안전관리, 보건복지 등 일자리 수요가 늘어나는 분야에서도 인력 2만6000명을 신규로 증원하기로 했다.
학벌과 나이 등 ‘스펙’을 고려하지 않는 새로운 채용방식도 도입한다. 정부는 조만간 지원자의 인성이나 적성을 평가하기 위해 공공기관 공통 직무능력 평가 방법을 마련할 방침이다.
세종=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