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기 사고] 美언론 사고 분석 살펴보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시아나항공 사고를 놓고 미국 언론이 각각 다른 의견을 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의 경제전문방송 CNBC 인터넷판은 9일(현지시간) '한국 문화가 아시아나 항공기 충돌 사고의 실마리를 풀 수 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CNBC는 "한국 항공 산업의 안전성이 높아졌지만 조직 내 계급 문화 풍토는 여전하다"면서 토머스 코칸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슬론 경영대학원 교수의 발언을 인용해 "한국의 문화적 특성이 소통을 방해한다"고 언급했다.
코칸 교수는 "한국 문화는 서열주의와 권위주의라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며 "이 두 가지 특징이 결합되면 일방적 의사 소통을 낳을 수 있고 상향식 의사 전달이 힘들어 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CNBC는 한국어의 높임말에 대해 말하면서 "상급자 내지는 연장자에게 말할 경우 더 많은 단어를 써야 하고 완곡하게 표현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상급자나 연장자에게는 "물 마실래?"(Yo! You want water?)라고 말하는 것보다 "날씨가 더운데 물 드시겠습니까?"(It's a warm day for a nice refreshment, no?)라고 물어봐야 한다고 예를 들었다.
한국의 나이·계급 서열주의 및 권위주의 문화가 긴급한 상황에서 조종사들 간 효율적이고 신속한 의사 소통을 방해할 수 있는 점을 분석한 것이다.
반면 미국의 외교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는 다른 의견을 내보냈다.
포린폴리시는 "이번 아시아나 항공기 충돌 사고 당시에는 기수를 다시 올리는 것에 서로 의견을 달리했다"며 "아시아나 항공기 충돌 사고는 순종적 문화와는 무관한 사례"라고 지적했다.
포린폴리스는 이어 "1990년대 최악의 평가를 받았던 대한항공은 '조종석 문화'를 바꾸려 노력했고, 아시아나항공은 이번 사고가 발생하기 전까지 가장 안전한 항공사로 꼽혔다"며 "한국 항공사는 최근 안전도 부문에서 큰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윤영두 아시아나항공 사장이 10일(한국시간) 미국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알려진 가운데 이번 사고 원인이 밝혀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미국의 경제전문방송 CNBC 인터넷판은 9일(현지시간) '한국 문화가 아시아나 항공기 충돌 사고의 실마리를 풀 수 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CNBC는 "한국 항공 산업의 안전성이 높아졌지만 조직 내 계급 문화 풍토는 여전하다"면서 토머스 코칸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슬론 경영대학원 교수의 발언을 인용해 "한국의 문화적 특성이 소통을 방해한다"고 언급했다.
코칸 교수는 "한국 문화는 서열주의와 권위주의라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며 "이 두 가지 특징이 결합되면 일방적 의사 소통을 낳을 수 있고 상향식 의사 전달이 힘들어 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CNBC는 한국어의 높임말에 대해 말하면서 "상급자 내지는 연장자에게 말할 경우 더 많은 단어를 써야 하고 완곡하게 표현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상급자나 연장자에게는 "물 마실래?"(Yo! You want water?)라고 말하는 것보다 "날씨가 더운데 물 드시겠습니까?"(It's a warm day for a nice refreshment, no?)라고 물어봐야 한다고 예를 들었다.
한국의 나이·계급 서열주의 및 권위주의 문화가 긴급한 상황에서 조종사들 간 효율적이고 신속한 의사 소통을 방해할 수 있는 점을 분석한 것이다.
반면 미국의 외교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는 다른 의견을 내보냈다.
포린폴리시는 "이번 아시아나 항공기 충돌 사고 당시에는 기수를 다시 올리는 것에 서로 의견을 달리했다"며 "아시아나 항공기 충돌 사고는 순종적 문화와는 무관한 사례"라고 지적했다.
포린폴리스는 이어 "1990년대 최악의 평가를 받았던 대한항공은 '조종석 문화'를 바꾸려 노력했고, 아시아나항공은 이번 사고가 발생하기 전까지 가장 안전한 항공사로 꼽혔다"며 "한국 항공사는 최근 안전도 부문에서 큰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윤영두 아시아나항공 사장이 10일(한국시간) 미국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알려진 가운데 이번 사고 원인이 밝혀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