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장치' 사방댐…재해예방·수질개선 효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사태 피해 '제로'에 도전 (1) 하류지역에 집중 투자
연평균 558 산사태 발생
사방댐 설치로 사람 목숨 지켜
산림청, 올 785곳 건설키로
연평균 558 산사태 발생
사방댐 설치로 사람 목숨 지켜
산림청, 올 785곳 건설키로
2011년 서울 우면산과 춘천 마적산 산사태 등으로 그해에만 43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설치·운영하고 산사태 발생지 복구 등과 산사태 예방 장기대책을 5년마다 수립·시행토록 하는 등 산림보호법이 강화됐다. 산림청과 한국경제신문은 여름철 집중호우와 장마, 태풍으로 인한 산사태 예방과 향후 대책을 짚어본다.
지난 9일 장마로 폭우가 쏟아지던 강원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산사태 취약지역. 이곳은 집중호우 때마다 토석류(土石流)가 유출돼 하류지역의 펜션단지를 위협해왔다. 7곳이 넘는 펜션단지 주인들은 휴가를 온 관광객들이 토석류에 재해를 입지나 않을까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기 일쑤였다.
이에 산림청은 지난달 23일 이곳에 1억8000여만원을 들여 길이 21m, 높이 4m의 사방댐을 건설했다. 오정수 강촌펜션 사장은 “사방댐 설치로 올여름 관광객들이 안전하게 휴가를 보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사태가 대규모 재해로 이어져
10일 산림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림은 기후적, 지형·지질적, 인위적 원인 등으로 산사태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연평균 강수량 1300㎜의 대부분이 하절기에 집중돼 있고 산림의 경사가 급하며 응집력이 낮은 마사토 비중이 높다. 펜션 건축 등 산지의 용도전용(2000년 7170㏊→2010년 1만1851㏊)으로 인한 산림 훼손도 산사태의 주요인이다.
최근 10년간(2003~2012년) 연평균 558㏊ 규모 산사태가 발생했다. 10년 단위로 평균 산사태 발생 규모를 분석하면 1980년대 2308㏊, 1990년대 3493㏊, 2000년대 7126㏊로 2000년대부터 급증·대형화하는 추세다. 2000년대 산사태 발생 규모가 1980년대보다 3배 이상 커졌다. 2011년 우면산 산사태로 1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같은 해 춘천에서도 봉사활동을 온 인하대 학생 10명이 산사태로 희생되기도 했다. 인명피해가 컸던 원인은 산지에서 소규모로 발생한 산사태에 토석류가 섞이면서 인구밀집지역으로 밀려왔기 때문이다. 소규모 산사태가 대규모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이명수 산림청 산사태방지과장은 “올해도 여름철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우량도 많을 것으로 예상돼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다”고 말했다.
◆사방댐 설치, 재해 예방 효과 커
산림청은 산사태를 ‘막을 수 없지만 피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주민 생활권 주변을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집중 관리하면서 사방댐 설치를 적극 추진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사방댐을 산 위쪽보다 아래쪽에 집중 설치하면 인명과 재산을 지키고 수질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 산림청은 산사태 취약지역을 올해 1만곳에서 2017년까지 3만6000곳으로 확대해 중점 관리하고 사방댐 1만1900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 785곳에 사방댐을 설치한다. 지난해까지 6745개를 만들었다.
사방댐은 재해 예방 효과가 크다. 2011년 경기 동두천의 하봉암에 설치된 사방댐은 가옥 150호와 공장 10동, 농경지 10㏊의 침수를 막았다. 앞서 2004년에도 강원 평창의 봉평에 설치한 사방댐은 가옥 116호, 밭 20㏊, 마을도로 4㎞ 등을 지켜냈다. 이 과장은 “사방댐은 집중호우시 산지 상류에서 밀려 내려오는 토석과 나무 등을 차단해 하류지역 민가를 보호해준다”며 “사방댐처럼 산사태 예방 위주의 재해 관리를 통해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 사방댐
산사태나 홍수를 막기 위해 계곡 등에 설치하는 둑을 말한다. 흘러내리는 물의 속도를 줄이고 침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춘천=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산림청·한국경제신문 공동기획
지난 9일 장마로 폭우가 쏟아지던 강원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산사태 취약지역. 이곳은 집중호우 때마다 토석류(土石流)가 유출돼 하류지역의 펜션단지를 위협해왔다. 7곳이 넘는 펜션단지 주인들은 휴가를 온 관광객들이 토석류에 재해를 입지나 않을까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기 일쑤였다.
이에 산림청은 지난달 23일 이곳에 1억8000여만원을 들여 길이 21m, 높이 4m의 사방댐을 건설했다. 오정수 강촌펜션 사장은 “사방댐 설치로 올여름 관광객들이 안전하게 휴가를 보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사태가 대규모 재해로 이어져
10일 산림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림은 기후적, 지형·지질적, 인위적 원인 등으로 산사태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연평균 강수량 1300㎜의 대부분이 하절기에 집중돼 있고 산림의 경사가 급하며 응집력이 낮은 마사토 비중이 높다. 펜션 건축 등 산지의 용도전용(2000년 7170㏊→2010년 1만1851㏊)으로 인한 산림 훼손도 산사태의 주요인이다.
최근 10년간(2003~2012년) 연평균 558㏊ 규모 산사태가 발생했다. 10년 단위로 평균 산사태 발생 규모를 분석하면 1980년대 2308㏊, 1990년대 3493㏊, 2000년대 7126㏊로 2000년대부터 급증·대형화하는 추세다. 2000년대 산사태 발생 규모가 1980년대보다 3배 이상 커졌다. 2011년 우면산 산사태로 1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같은 해 춘천에서도 봉사활동을 온 인하대 학생 10명이 산사태로 희생되기도 했다. 인명피해가 컸던 원인은 산지에서 소규모로 발생한 산사태에 토석류가 섞이면서 인구밀집지역으로 밀려왔기 때문이다. 소규모 산사태가 대규모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이명수 산림청 산사태방지과장은 “올해도 여름철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우량도 많을 것으로 예상돼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다”고 말했다.
◆사방댐 설치, 재해 예방 효과 커
산림청은 산사태를 ‘막을 수 없지만 피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주민 생활권 주변을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집중 관리하면서 사방댐 설치를 적극 추진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사방댐을 산 위쪽보다 아래쪽에 집중 설치하면 인명과 재산을 지키고 수질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 산림청은 산사태 취약지역을 올해 1만곳에서 2017년까지 3만6000곳으로 확대해 중점 관리하고 사방댐 1만1900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 785곳에 사방댐을 설치한다. 지난해까지 6745개를 만들었다.
사방댐은 재해 예방 효과가 크다. 2011년 경기 동두천의 하봉암에 설치된 사방댐은 가옥 150호와 공장 10동, 농경지 10㏊의 침수를 막았다. 앞서 2004년에도 강원 평창의 봉평에 설치한 사방댐은 가옥 116호, 밭 20㏊, 마을도로 4㎞ 등을 지켜냈다. 이 과장은 “사방댐은 집중호우시 산지 상류에서 밀려 내려오는 토석과 나무 등을 차단해 하류지역 민가를 보호해준다”며 “사방댐처럼 산사태 예방 위주의 재해 관리를 통해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 사방댐
산사태나 홍수를 막기 위해 계곡 등에 설치하는 둑을 말한다. 흘러내리는 물의 속도를 줄이고 침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춘천=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산림청·한국경제신문 공동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