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 고수한 中…수출·제조업 총체적 부진 '성장 브레이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 성장률 2분기 연속 하락
수출, 17개월만에 마이너스… 제조업지수, 올들어 최저…시장은 "일단 두고보자"
리커창 "성장목표 7.5%유지"…경기 더 악화땐 부양책 쓸듯
수출, 17개월만에 마이너스… 제조업지수, 올들어 최저…시장은 "일단 두고보자"
리커창 "성장목표 7.5%유지"…경기 더 악화땐 부양책 쓸듯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된 데는 성장동력이었던 수출이 부진하고 내수경기가 예상보다 저조한 데다 정부가 구조조정을 위해 긴축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올 하반기에는 경기가 다소 회복돼 경제성장률이 연간 기준 7.7~7.8%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만일 상황이 악화되더라도 중국 정부는 경기부양책을 동원해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7.5%를 달성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시장은 일단 “예상보다 나쁘지 않다”며 관망세를 보였다.
○거시지표 총체적 부진
중국의 성장률 둔화는 수출과 제조업 부진이 반영된 것이다. 중국의 수출은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18.4% 급증했지만 2분기 들어 증가율이 4월 14.7%, 5월 1.0%로 급격히 둔화되다가 6월에는 3.1% 줄어 17개월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제조업 경기를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6월 50.1로 올 들어 최저 수준이다. △유럽 등의 경기침체로 인한 해외 수요 부족 △선진국의 양적완화 조치에 따른 위안화 가치 상승 △임금과 원재료 가격상승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약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생산 소비 투자 등도 여전히 부진해 6월 산업생산과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올 들어 최저 수준을 보였다. 소매판매 증가율이 4개월 연속 상승하는 점이 위안거리지만 증가폭 자체만 보면 지난해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경기지표 둔화가 계속되지만 중국 정부는 긴축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시진핑-리커창 정부는 올 들어 성장보다 구조조정과 개혁을 전면에 내세우며 ‘경기부양 없는 경제체질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 지출을 줄이고 통화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경제성장률 둔화를 용인하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전날 웹사이트에 발표한 성명을 통해 “신중한 통화정책을 지속하고 수량과 가격 등 각종 통화정책 도구를 종합적으로 운용하겠다”며 “현재 은행시스템 내에 유동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인민은행은 지난해 5월과 6월 지급준비율과 금리를 각각 인하한 이후 1년여 동안 공개시장 조작만으로 통화량을 조절하고 있다.
○정부, 성장률 7.5% 이상 유지
골드만삭스 바클레이즈 HSBC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은 올해 중국 경제가 7.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중국 내 전문가들은 낙관론을 편다. 수출경기는 개선되지 않더라도 정부 투자가 확대되고 경기부양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이유다.
리다오쿠이 칭화대 교수는 “오는 10월께 경제개혁 정책을 논의하는 18기3중전회를 전후로 일련의 개혁조치가 나올 것”이라며 “정부가 새로운 건설프로젝트를 발표하는 등 공공소비로 성장률을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문제는 상황이 더 악화될 경우 정부가 성장률 하락을 어느 정도까지 용인하느냐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시진핑-리커창 정부가 구조조정과 경제발전 방식 전환에 무게를 두고 있어 7%까지 떨어져도 부양책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나 리커창 총리가 “올해 경제성장률은 하한(7.5%)으로 내려가지 않고 물가상승은 상한(3.5%)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은 만큼 7.5%의 성장 약속은 정부가 지킬 것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장융쥔 국제경제교류센터 경제연구부 부부장은 “성장률이 ‘하한’으로 떨어지면 정부는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 twkim@hankyung.com
○거시지표 총체적 부진
중국의 성장률 둔화는 수출과 제조업 부진이 반영된 것이다. 중국의 수출은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18.4% 급증했지만 2분기 들어 증가율이 4월 14.7%, 5월 1.0%로 급격히 둔화되다가 6월에는 3.1% 줄어 17개월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제조업 경기를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6월 50.1로 올 들어 최저 수준이다. △유럽 등의 경기침체로 인한 해외 수요 부족 △선진국의 양적완화 조치에 따른 위안화 가치 상승 △임금과 원재료 가격상승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약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생산 소비 투자 등도 여전히 부진해 6월 산업생산과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올 들어 최저 수준을 보였다. 소매판매 증가율이 4개월 연속 상승하는 점이 위안거리지만 증가폭 자체만 보면 지난해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경기지표 둔화가 계속되지만 중국 정부는 긴축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시진핑-리커창 정부는 올 들어 성장보다 구조조정과 개혁을 전면에 내세우며 ‘경기부양 없는 경제체질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 지출을 줄이고 통화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경제성장률 둔화를 용인하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전날 웹사이트에 발표한 성명을 통해 “신중한 통화정책을 지속하고 수량과 가격 등 각종 통화정책 도구를 종합적으로 운용하겠다”며 “현재 은행시스템 내에 유동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인민은행은 지난해 5월과 6월 지급준비율과 금리를 각각 인하한 이후 1년여 동안 공개시장 조작만으로 통화량을 조절하고 있다.
○정부, 성장률 7.5% 이상 유지
골드만삭스 바클레이즈 HSBC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은 올해 중국 경제가 7.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중국 내 전문가들은 낙관론을 편다. 수출경기는 개선되지 않더라도 정부 투자가 확대되고 경기부양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이유다.
리다오쿠이 칭화대 교수는 “오는 10월께 경제개혁 정책을 논의하는 18기3중전회를 전후로 일련의 개혁조치가 나올 것”이라며 “정부가 새로운 건설프로젝트를 발표하는 등 공공소비로 성장률을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문제는 상황이 더 악화될 경우 정부가 성장률 하락을 어느 정도까지 용인하느냐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시진핑-리커창 정부가 구조조정과 경제발전 방식 전환에 무게를 두고 있어 7%까지 떨어져도 부양책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나 리커창 총리가 “올해 경제성장률은 하한(7.5%)으로 내려가지 않고 물가상승은 상한(3.5%)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은 만큼 7.5%의 성장 약속은 정부가 지킬 것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장융쥔 국제경제교류센터 경제연구부 부부장은 “성장률이 ‘하한’으로 떨어지면 정부는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