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열 > 실종자 가족들이 16일 노량진 상수도관 수몰사고 현장에서 오열하고 있다. 이날 실종자 수색작업은 실패로 끝났다. 연합뉴스
< 오열 > 실종자 가족들이 16일 노량진 상수도관 수몰사고 현장에서 오열하고 있다. 이날 실종자 수색작업은 실패로 끝났다. 연합뉴스
서울 노량진에서 지난 15일 발생한 상수도관 공사장 수몰 참사는 한강 수위 상승에도 불구하고 공사를 강행한 데 따른 인재인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는 팔당댐 방류량 증가로 위험이 예상됨에도 충분한 사전 대비를 하지 않아 사고 책임을 면키 어려울 전망이다. 시는 또 사고 발생 당시 한 명의 생존자가 있었는데도 하루가 지난 다음날 오후에서야 이 사실을 파악하는 등 허둥지둥하는 모습을 보여 빈축을 사고 있다.

상수도관 공사를 맡은 천호건설의 박종휘 현장소장은 16일 브리핑에서 “지난 5월 각 공사장에 팔당댐 수위의 변화가 있으면 현장에서 즉각 철수하라는 수방 계획이 전달됐다”며 “공사팀장에게서 지난 15일 오후 4시13분 카카오톡으로 범람 위기 사진을 받았고 이후 작업을 임시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장에서 공사를 맡은 하도급 업체인 동아지질 측은 “직원들을 상대로 확인한 결과 (철수하라는) 연락을 받은 적이 없다”고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당시 오후 3시께 중부지역에 내린 폭우로 팔당댐이 방류량을 종전 초당 7000~7500에서 1만5000여까지 늘리면서 한강 수위가 급격히 높아지기 시작했다. 결국 대피 지시를 제대로 전달받지 못한 현장 근로자들이 오후 4시50분께까지 작업을 계속하다 불어난 한강물에 휩쓸려 한 명이 사망하고 여섯 명이 실종된 참사가 발생한 것이다. 감리회사인 건화의 이명근 감리단장은 “현장에 도착했을 땐 역류할 수 있는 물이 높이 1m 이상 남아 있었고, 당연히 매뉴얼대로 근로자들이 빠져나올 줄 알았다”고 말해 아무런 사전 조치가 없었음을 시인했다.

공사 발주기관인 서울시의 사전 대책도 허술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당일 오전 10시께 현장 책임자에게 안전관리를 당부하는 전화를 했을 뿐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 계속된 집중호우로 팔당댐 방류량이 급격히 늘어 한강 수위가 계속 높아지고 있던 오후에도 서울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또 사고 당시 상수도관 내부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는 당초 서울시가 밝힌 7명이 아니라 8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동작경찰서에 따르면 이모씨는 사고 당시 “물이 차오르니 도망가자”는 작업반장의 말을 듣고 사고 발생 10분 전인 오후 4시40분께 지상으로 대피했다. 이씨는 50대 후반인 다른 인부들과 달리 40대로, 비교적 빨리 탈출할 수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럼에도 시 고위 관계자는 16일 오후까지 이런 사실을 강력히 부인하다 동작경찰서가 이씨를 상대로 사고경위 등을 조사하고 나서야 “이씨가 먼저 대피한 것 같다.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강경민/김태호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