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누락·폐기 결론 땐 수사"…민주 "원본 찾는 데 주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與의원 "정상회담 전후 靑 회의록도 일부 사라져"
여야는 19일 국가기록원이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을 찾지 못한 것과 관련, 공방을 이어갔다. 새누리당은 ‘대화록 부재’를 기정 사실화하면서 심각한 국기문란 사태에 해당한다고 민주당을 공격했다. 민주당은 ‘대화록 찾기’에 주력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현재까지의 모든 정황을 종합해볼 때 국가기록원에 대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여야가 최종적으로 (대화록이) 없는 것으로 결론내릴 경우 경위와 책임소재를 명명백백히 밝히고 관련자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 관계자는 “검찰 수사 등도 고려 대상”이라고 했다.
새누리당은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넘겨받은 자료 목록에 대화록이 없었다”는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의 발언을 고리삼아 노무현 정부 책임론을 부각하는 데 주력했다.
권성동 의원은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만약 대화록이 없다면 노무현 정부 청와대에서 이것을 폐기하고 국가기록원에 넘겨주지 않았을 가능성에 훨씬 더 무게가 있다”고 했다.
민주당은 일단 대여 공세를 자제했다. 여야가 볼썽사나운 모습을 연출하는 데 대한 여론 악화와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가 뒷전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지금은 예단과 억측을 할 게 아니라 정본을 찾고 국회에 제출된 자료를 열람해야 할 때”라고 ‘신중 모드’로 전환했다.
원내지도부는 이날 소속 의원들에게 이 사안과 관련한 인터뷰 및 방송출연 자제령을 내렸다.
한편 전날 운영위 비공개회의에서 한 새누리당 의원이 “정상회담 전후 청와대 회의록 중 있어야 하는데 없는 게 있다”며 “이 문서에는 노 전 대통령이 북방한계선(NLL) 포기 취지 발언을 한 게 담겨 있다”고 주장한 게 뒤늦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민주당은 “모든 회담 관련 기록은 빠짐없이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됐다”며 “신빙성 없는 일방적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현재까지의 모든 정황을 종합해볼 때 국가기록원에 대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여야가 최종적으로 (대화록이) 없는 것으로 결론내릴 경우 경위와 책임소재를 명명백백히 밝히고 관련자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 관계자는 “검찰 수사 등도 고려 대상”이라고 했다.
새누리당은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넘겨받은 자료 목록에 대화록이 없었다”는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의 발언을 고리삼아 노무현 정부 책임론을 부각하는 데 주력했다.
권성동 의원은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만약 대화록이 없다면 노무현 정부 청와대에서 이것을 폐기하고 국가기록원에 넘겨주지 않았을 가능성에 훨씬 더 무게가 있다”고 했다.
민주당은 일단 대여 공세를 자제했다. 여야가 볼썽사나운 모습을 연출하는 데 대한 여론 악화와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가 뒷전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지금은 예단과 억측을 할 게 아니라 정본을 찾고 국회에 제출된 자료를 열람해야 할 때”라고 ‘신중 모드’로 전환했다.
원내지도부는 이날 소속 의원들에게 이 사안과 관련한 인터뷰 및 방송출연 자제령을 내렸다.
한편 전날 운영위 비공개회의에서 한 새누리당 의원이 “정상회담 전후 청와대 회의록 중 있어야 하는데 없는 게 있다”며 “이 문서에는 노 전 대통령이 북방한계선(NLL) 포기 취지 발언을 한 게 담겨 있다”고 주장한 게 뒤늦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민주당은 “모든 회담 관련 기록은 빠짐없이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됐다”며 “신빙성 없는 일방적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