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오른쪽)이 22일 오전 10시 서울 와룡동 문체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강운태 광주시장(왼쪽)도 한 시간 뒤인 오전 11시 광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연합뉴스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오른쪽)이 22일 오전 10시 서울 와룡동 문체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강운태 광주시장(왼쪽)도 한 시간 뒤인 오전 11시 광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연합뉴스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 유치신청서에 첨부된 정부보증서 위조 사건을 둘러싼 정부와 광주광역시의 공방이 ‘책임 떠넘기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대회 유치위 관계자를 검찰에 수사의뢰했고, 국가 예산 지원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정홍원 국무총리도 정부보증서가 바뀐 사실을 알고 있었다”며 정부가 약속대로 예산을 지원해 달라고 했다.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은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건은 국제 스포츠대회 유치 과정에서 국무총리와 문체부 장관의 서명이 위조된 사상 초유의 사태”라며 “정부의 재정 지원(전체 사업비 635억원 가운데 경기장 보수비 55억원)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노 국장은 그러나 “세계수영선수권을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지원은 차질 없이 할 계획”이라며 “다만 유치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서는 분명히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했다. 또 “정부가 의도적으로 문서위조를 공개한 것은 절대 아니다”고 해명했다.

문체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월 말 국무총리와 문체부 장관 명의의 정부보증서를 발급했으나 대회 유치위가 4월2일 1차 유치신청서를 국제수영연맹(FINA)에 제출하는 과정에서 ‘2011 대구육상대회 때처럼 정부가 1억달러를 지원하겠다’는 임의 내용과 함께 조작된 정부보증서를 첨부했다.

강운태 시장도 이날 광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FINA에 제출한 정부보증서 초안은 지난 4월 총리실의 지적에 따라 즉시 시정했고 최종본에는 원본대로 제출했다”며 “경위야 어찌됐건 이는 잘못된 것으로 (정부와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그러나 “이번 광주 유치 자체는 행정적·법률적·도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다”며 “정 총리도 위조 사실을 알았고 이후 지난 5월1일 FINA 실사단을 만난 자리에서 수영대회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했으니 정부가 애초 약속대로 예산을 지원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문서조작 경위와 관련, 강 시장은 “지난 4월29일 FINA의 광주실사단에 제출된 정부보증문서는 국제컨설팅사인 스위스 로잔의 TSE가 ‘보증문서보다는 친근감 있는 서한문 형태로 제출하자’고 권고해 6급인 담당직원이 바꿨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예산 지원 철회 입장에 대해 강 시장은 “2019년까지 6년이라는 긴 세월이 남았다”며 “그 사이에 이 문제가 반드시 전향적으로 풀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혀 정치적 해결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서기열/광주=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