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민원이 제기된 아파트 단지의 비리조사를 전담할 ‘공동주택관리지원센터’를 열고 운영에 들어간다고 25일 발표했다. 이 센터는 서울시청 주택정책실 안에 설치되며 관리비 적정성 평가, 장기 수선계획 기술 지원, 건축·토목·설비·조경 등에 대한 표준공사비 산정 지원 컨설팅 등을 수행한다.

태스크포스(TF)팀 성격의 민관합동 조사단을 꾸려 6월 한 달간 서울시내 11개 아파트 단지를 조사했던 서울시가 아예 상설기구를 만든 것이다. 공동주택관리지원센터는 지원총괄팀과 실태조사팀으로 꾸려지며 9월 중 실태조사팀을 1개 더 늘려 총 3개팀 17명 규모로 운영된다.

서울시는 실태조사와 컨설팅에 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기술사회, 대한변호사협회 등 전문가단체의 지원을 받기 위해 이날 양해각서도 체결했다. 시는 행정 및 예산을 지원하고 협회는 전문 인력 파견에 나선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실태조사로 문제점이 드러나는 단지는 행정조치, 수사 의뢰 등 엄격한 조치를 하겠다”며 “아파트 관리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