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철 "6·25 정전 이듬해 들어간 대학은 판잣집 같았고…"
“6·25전쟁이 끝난 지 몇 개월 되지 않은 1954년 초, 수업을 받던 국립 부산수산대 건물은 판잣집과 같았어요. 건물도 미군 소유였어요. 그랬던 이곳이 세계 60여 국가에서 수산관련 학문을 배우러 오는 대학으로 발전한 건 참전 용사들의 소중한 피와 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김재철 동원그룹 회장(78·사진)은 6·25전쟁 정전 60주년을 맞아 28일 부산 대연동 부경대 내 ‘동원 장보고관’에서 뉴질랜드 참전 용사 초청행사를 열었다. 오찬을 겸한 이날 행사에서 김 회장은 전쟁 직후 대학 신입생이던 자신을 회상하며 환영사를 해 주목을 받았다. 그는 “부경대 전신인 수산대 건물은 6·25전쟁 당시 야전병원 및 미군 임시사령부로 사용됐던 곳”이라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1954년 수산대에 입학해 1958년 졸업했다.

이날 오찬 행사에는 존 필립 키 뉴질랜드 총리와 김 회장을 비롯해 참전 용사 30여명과 가족 등 120여명이 참가했다. 김 회장은 현재 뉴질랜드 명예 영사를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여러분이 목숨을 걸고 지켜줬기 때문에 당시 헐벗고 가난했던 부산이 인구 400만명의 세계적인 대도시로 발전했다”며 “한국과 뉴질랜드의 굳은 동맹관계의 중심에는 참전 용사들이 있다”고 말했다. 키 총리도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면 동맹이 더욱 굳건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키 총리와 김 회장은 행사 뒤 한·뉴질랜드 FTA와 경제협력 방안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한편 국가보훈처는 이날 6·25전쟁 참전국인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 9개국 정부 대표단과 참전용사 등을 초청해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추모 행사를 열었다. 뉴질랜드는 6·25전쟁 당시 5350명을 파병했다. 그중 41명이 전사, 유해 34기가 유엔기념공원에 봉안돼 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