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왼쪽)이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에게 ‘금강산’ 등의 단어로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의 모습을 그린 타이포그래피 초상화를 선물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왼쪽)이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에게 ‘금강산’ 등의 단어로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의 모습을 그린 타이포그래피 초상화를 선물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故)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 10주기를 추모하는 학술세미나가 30일 서울 장충동 반얀트리호텔에서 열렸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이날 ‘한반도 통일을 위한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로 연 세미나에서는 유장희 동반성장 위원장이 사회를 맡고 김하중 전 통일부 장관, 이배용 전 이화여대 총장, 정갑영 연세대 총장, 문정인 연세대 교수가 토론자로 나섰다.

정 총장은 “정 회장의 대북경제협력 사업은 남북한 관계를 넘어 통일 한국의 글로벌 발전전략이었다”며 “금강산, 개성 육로 관광은 남북 간의 긴장을 완화하고 통일이 시대적 목표라는 새로운 이상을 만든 계기”라고 평가했다.

통일을 위한 다양한 제안도 나왔다. 김 전 장관은 “남북 관계에선 일반 외교가 아닌 ‘통일 외교’라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며 “통일 이후 한국의 위상을 상정하고 주변국과의 관계를 설정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문 교수는 “경제통합이 정치통합으로 이어진 유럽 사례를 보면 통일 한국의 모습도 그려볼 수 있다”며 “경제통합부터 서서히 추진한다면 ‘낮은 단계의 연방제’를 전제로 한 합의형 통일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