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민생 위한 강력한 정부 만들겠다…공무원들 과거 안주 말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취임 6개월 앞두고 '국정쇄신' 드라이브
부처 칸막이 질타…全부처 일자리 창출 나서라
국무회의서 '새로운 변화·도전' 일곱번 강조
공직혁신 강력 촉구…강도높은 사정 나설 듯
부처 칸막이 질타…全부처 일자리 창출 나서라
국무회의서 '새로운 변화·도전' 일곱번 강조
공직혁신 강력 촉구…강도높은 사정 나설 듯
휴가를 마치고 돌아온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일 청와대 참모진 개편을 단행한 데 이어 6일에는 국무회의에서 향후 국정운영 구상에 대한 보따리를 풀었다. 모두발언에서만 원고지 18장 분량의 긴 메시지를 제시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새로운 변화, 새로운 도전이란 표현을 수차례 반복해 강조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박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새로운 변화, 새로운 도전’이란 표현을 일곱 번이나 사용했다.
이 관계자는 “대대적인 국정쇄신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했다. 취임 6개월을 앞두고 국정 운영에 커다란 변화를 주겠다는 시그널을 던진 것이란 얘기다.
○“민생에 최대 역점”
박 대통령이 이날 밝힌 새로운 국정운영 키워드의 첫 번째는 ‘경제 살리기’다. ‘세일즈 외교 대통령’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상반기에는 새로운 국정비전과 과제를 수립하고 분야별 실천로드맵을 마련하는 데 주력했다”며 “하반기에는 이것을 토대로 적극적인 경제 살리기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민생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새 변화와 도전의 길을 가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목표는 국민의 삶”이라며 “민생을 위한 강력하고 추진력 있는 정부를 만들어 가겠다. 하반기에는 국민들의 민생에 최대 역점을 두고 국정에 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는 최근 주요 언론사 논설실장단 오찬에서 “경제민주화 주요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돼 거의 끝에 왔다. 이제는 투자가 더 활성화되도록 하는 쪽으로 힘을 많이 기울이려고 한다”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일자리 창출과 부처 간 협업 등 세부 역점과제에 대해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일자리 창출에 대해선 “경제부처와 비경제부처가 따로 있을 수 없고 중앙부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지방자치단체도 과감한 규제완화를 통해 투자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각 부처 장관들에게 재차 ‘부처 간 협업 부재’를 강한 톤으로 질타했다. 그는 “최근 감사원 감사 결과를 보면 정보 개방과 공유가 부처 간은 물론이고 중앙정부와 지자체, 행정부와 사법부에 이르기까지 국가 전반에 걸쳐 미흡한 걸로 지적됐다”며 “특히 국가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보유한 기관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개방하는 것을 꺼리면서 다른 기관 정보를 요구하는 이기적 행태가 심각한 걸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 정부에서는 칸막이나 부처 이기주의란 말이 나오지 않도록 제대로 된 협업 실천에 박차를 가해 달라”고 주문했다.
○“축적돼온 비리 바로잡을 것”
최근 출범한 노사정위원회를 통해 쟁점이 되는 국정 현안을 풀어가겠다는 뜻도 밝혔다.
박 대통령은 “노사정위원회에는 노사단체 외에 청년과 비정규직 여성 중소기업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해 고용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여러 정책을 논의하게 된다”며 “정부도 노사정위원회가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공직사회 전반의 변화도 강하게 촉구했다. “수십년간 축적돼온 잘못된 관행들과 비리 부정부패 등을 바로잡아서 맑고 깨끗한 정부를 만들 것”이라며 동시에 “민생을 위한 강력하고 추진력있는 정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무위원들은 각 부처의 문제점을 바로잡고 공무원들이 과거에 안주하지 않고 잘못된 관행을 고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개혁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필요하면 강도높은 사정에 나설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
이 관계자는 “대대적인 국정쇄신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했다. 취임 6개월을 앞두고 국정 운영에 커다란 변화를 주겠다는 시그널을 던진 것이란 얘기다.
○“민생에 최대 역점”
박 대통령이 이날 밝힌 새로운 국정운영 키워드의 첫 번째는 ‘경제 살리기’다. ‘세일즈 외교 대통령’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상반기에는 새로운 국정비전과 과제를 수립하고 분야별 실천로드맵을 마련하는 데 주력했다”며 “하반기에는 이것을 토대로 적극적인 경제 살리기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민생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새 변화와 도전의 길을 가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목표는 국민의 삶”이라며 “민생을 위한 강력하고 추진력 있는 정부를 만들어 가겠다. 하반기에는 국민들의 민생에 최대 역점을 두고 국정에 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는 최근 주요 언론사 논설실장단 오찬에서 “경제민주화 주요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돼 거의 끝에 왔다. 이제는 투자가 더 활성화되도록 하는 쪽으로 힘을 많이 기울이려고 한다”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일자리 창출과 부처 간 협업 등 세부 역점과제에 대해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일자리 창출에 대해선 “경제부처와 비경제부처가 따로 있을 수 없고 중앙부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지방자치단체도 과감한 규제완화를 통해 투자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각 부처 장관들에게 재차 ‘부처 간 협업 부재’를 강한 톤으로 질타했다. 그는 “최근 감사원 감사 결과를 보면 정보 개방과 공유가 부처 간은 물론이고 중앙정부와 지자체, 행정부와 사법부에 이르기까지 국가 전반에 걸쳐 미흡한 걸로 지적됐다”며 “특히 국가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보유한 기관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개방하는 것을 꺼리면서 다른 기관 정보를 요구하는 이기적 행태가 심각한 걸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 정부에서는 칸막이나 부처 이기주의란 말이 나오지 않도록 제대로 된 협업 실천에 박차를 가해 달라”고 주문했다.
○“축적돼온 비리 바로잡을 것”
최근 출범한 노사정위원회를 통해 쟁점이 되는 국정 현안을 풀어가겠다는 뜻도 밝혔다.
박 대통령은 “노사정위원회에는 노사단체 외에 청년과 비정규직 여성 중소기업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해 고용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여러 정책을 논의하게 된다”며 “정부도 노사정위원회가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공직사회 전반의 변화도 강하게 촉구했다. “수십년간 축적돼온 잘못된 관행들과 비리 부정부패 등을 바로잡아서 맑고 깨끗한 정부를 만들 것”이라며 동시에 “민생을 위한 강력하고 추진력있는 정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무위원들은 각 부처의 문제점을 바로잡고 공무원들이 과거에 안주하지 않고 잘못된 관행을 고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개혁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필요하면 강도높은 사정에 나설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