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돈키호테' 바티스타의 끝없는 추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산 1년여만에 343억→2억달러
사기 혐의로 피소…감옥 갈 위기
사기 혐의로 피소…감옥 갈 위기
“바티스타는 결국 원자재 붐과 정·관계 로비에만 기댔던 허상에 불과했나.”
한때 브라질 최고 재벌로 군림했지만 지금은 투자자들의 소송에 휘말린 에이케 바티스타 EBX그룹 회장(56·사진)에게 악평이 쏟아지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7일 보도했다. 지난해 3월 343억달러였던 그의 재산은 현재 2억달러뿐이다.
바티스타 회장이 궁지에 몰린 이유는 EBX그룹의 대표자회사인 OGX(석유 부문)와 LLX(물류 부문)에서 성과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티스타 회장은 2007년부터 OGX를 통해 브라질 내 유전 3곳을 개발해 왔다. 그는 투자자들에게 “2020년이면 이들 유전에서 하루에 140만배럴의 원유를 생산할 수 있다”고 호언했다.
하지만 지난 6월 바티스타 회장은 돌연 유전 개발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생산성이 없다”고 실토한 것이다. OGX 지분을 보유한 개인 투자자 60여명은 현재 “바티스타 회장이 유전 개발 중단을 선언하기 2주일 전 자신이 가진 주식 일부를 내다 팔았다”고 주장하며 바티스타 회장을 내부자 거래 및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LLX가 2010년부터 리우데자네이루 인근에 건설하려던 대형 항구 ‘아수 슈퍼포트’도 사실상 물거품이 됐다. 자금을 제대로 모으지 못한 데다 주거지를 지키려는 현지 주민들의 반발도 거셌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바티스타 회장의 재산은 순식간에 날아갔다. 브라질 정부 관리들과의 두터운 친분도 소용이 없었다. OGX 주가는 올 들어서만 약 90% 폭락했다. 포브스는 “바티스타 회장은 시간당 200만달러를 잃은 셈”이라고 비꼬았다.
알도 무사치오 하버드경영대학원 교수는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 신흥국에선 경기 호황과 불황의 사이클이 극단적으로 움직이면서 바티스타 회장처럼 ‘꿈을 팔다 사라져가는 기업가’가 자주 등장한다”며 “EBX그룹의 경우 재무제표 관리는 하지 않고 외부 빚만 끌어모으려 했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한때 브라질 최고 재벌로 군림했지만 지금은 투자자들의 소송에 휘말린 에이케 바티스타 EBX그룹 회장(56·사진)에게 악평이 쏟아지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7일 보도했다. 지난해 3월 343억달러였던 그의 재산은 현재 2억달러뿐이다.
바티스타 회장이 궁지에 몰린 이유는 EBX그룹의 대표자회사인 OGX(석유 부문)와 LLX(물류 부문)에서 성과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티스타 회장은 2007년부터 OGX를 통해 브라질 내 유전 3곳을 개발해 왔다. 그는 투자자들에게 “2020년이면 이들 유전에서 하루에 140만배럴의 원유를 생산할 수 있다”고 호언했다.
하지만 지난 6월 바티스타 회장은 돌연 유전 개발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생산성이 없다”고 실토한 것이다. OGX 지분을 보유한 개인 투자자 60여명은 현재 “바티스타 회장이 유전 개발 중단을 선언하기 2주일 전 자신이 가진 주식 일부를 내다 팔았다”고 주장하며 바티스타 회장을 내부자 거래 및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LLX가 2010년부터 리우데자네이루 인근에 건설하려던 대형 항구 ‘아수 슈퍼포트’도 사실상 물거품이 됐다. 자금을 제대로 모으지 못한 데다 주거지를 지키려는 현지 주민들의 반발도 거셌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바티스타 회장의 재산은 순식간에 날아갔다. 브라질 정부 관리들과의 두터운 친분도 소용이 없었다. OGX 주가는 올 들어서만 약 90% 폭락했다. 포브스는 “바티스타 회장은 시간당 200만달러를 잃은 셈”이라고 비꼬았다.
알도 무사치오 하버드경영대학원 교수는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 신흥국에선 경기 호황과 불황의 사이클이 극단적으로 움직이면서 바티스타 회장처럼 ‘꿈을 팔다 사라져가는 기업가’가 자주 등장한다”며 “EBX그룹의 경우 재무제표 관리는 하지 않고 외부 빚만 끌어모으려 했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